광주·포항·창원서 `디지털트윈 도시침수 대응` 실증 추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와 지자체가 지난해 발생한 수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첨단 예보체계를 도입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트윈을 기반으로 하천홍수와 도시침수 피해 최소화 및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역별 분산된 데이터를 통합하고 고정밀 공간정보를 활용한 AI예측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종합적인 대응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향후 전국적인 확산 노력을 통해 국민 안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환경부 및 지자체 등과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와 지자체가 지난해 발생한 수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첨단 예보체계를 도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환경부는 12일 광주시·경상북도·경상남도와 디지털트윈 및 AI(인공지능) 등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도시침수 예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에 이어 내년까지 총 160억원을 투입해 '디지털트윈 기반 도시침수 스마트대응시스템'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이 수해현장 방문 후 가진 대책회의에서 종합적인 물길에 대한 홍수 예·경보 시스템 마련을 당부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과기정통부 공모를 통해 선정된 실증지역은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로 침수피해가 발생한 경북 포항시, 최근 5년간 집중호우·태풍 등 자연재난 피해를 입은 광주시, 경남 창원시 등 3곳이다. 이들 기관은 실증지역의 기상청 강수 예보(6시간 전) 자료를 활용해 침수 위험정보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실증할 계획이다.
실증사업은 △도시침수 분석·예측을 위한 데이터 수집체계 구축 △실시간 침수 모니터링 및 스마트 원격제어 시스템 구축 △내·외수 연계 도시침수 예측 디지털트윈 기반 시뮬레이션 구축 △도시침수 통합관제시스템과 대응매뉴얼 구축 등이 주요내용이다.
양 부처와 지자체는 대상지역의 고정밀 공간정보를 활용한 디지털트윈 시스템에 IoT(사물인터넷)센서·CCTV 등 현장 계측정보를 연계, 침수가 발생·우려될 때 지역주민에게 보다 신속하게 홍수 위험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환경부는 지난해 하천범람으로 피해가 발생한 경북 포항시 냉천에 강우량·수위·유량을 측정하는 다목적 관측소를 지난달 설치, 올여름 자연재난 대책기간에 주요 지점 하천 수위정보를 우선 제공할 예정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트윈을 기반으로 하천홍수와 도시침수 피해 최소화 및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역별 분산된 데이터를 통합하고 고정밀 공간정보를 활용한 AI예측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종합적인 대응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향후 전국적인 확산 노력을 통해 국민 안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환경부 및 지자체 등과 협력하겠다"고 말했다.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하수도 등 침수방지시설의 능력을 초과하는 극한 강우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시설 정비만으로는 국민 안전을 담보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팽동현기자 dhp@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부기관 女탈의실에 `몰카`…잡고보니 30대 동료 직원
- 김건희 여사 "개 식용은 중국과 한국 뿐…종식 위해 노력"
- 장발에 푸른 갑옷…소름돋는 박서준 아우라 `초대박 예감`
- "마크롱 親중국 행보 경악 수준"…서방 십자포화
- 꿋꿋한 조국·조민 부녀, 북콘서트서 담담한 심경…“당당하게 살아갈 것”
- [트럼프 2기 시동]트럼프 파격 인사… 뉴스앵커 국방장관, 머스크 정부효율위 수장
- 거세지는 ‘얼죽신’ 돌풍… 서울 신축 품귀현상 심화
- 흘러내리는 은행 예·적금 금리… `리딩뱅크`도 가세
- 미국서 자리 굳힌 SK바이오팜, `뇌전증약` 아시아 공략 채비 마쳤다
- 한화, 군함 앞세워 세계 최대 `美 방산시장`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