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뉴스]큰 아픔 남긴 강릉 산불

문호남 기자 2023. 4. 12. 15: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강원 강릉시 난곡동 야산 화재 발생 다음날인 12일 안영순(60) 씨가 피해 현장을 찾아 깊은숨을 내쉬었다.

23년 동안 이곳에서 거주하며 민박집을 운영해 온 안 씨는 산불로 하루아침에 삶의 터전을 잃어버렸다.

산불 피해 임시 대피소가 마련된 강릉 아이스 아레나에서 만난 최영주(44) 씨의 눈은 빨갛게 충혈돼 있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원 강릉시 난곡동 야산 화재 발생 다음날인 12일 안영순(60) 씨가 잿더미로 변한 자신의 집터를 둘러보던 중 “집에서 모으던 동전”이라며 현장을 기자에게 설명하고 있다. 23년 동안 이곳에서 거주하며 민박집을 운영해 온 안 씨는 산불로 하루아침에 삶의 터전을 잃어버렸다. 문호남 기자
  안 씨가 잿더미로 변한 집을 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 문호남 기자
  안 씨가 아수라장이 된 현장을 거닐고 있다. 문호남 기자
  “어떡해” 안 씨가 깊은숨을 내쉬었다. 문호남 기자

“이제 어떻게 해야 하나…”

강원 강릉시 난곡동 야산 화재 발생 다음날인 12일 안영순(60) 씨가 피해 현장을 찾아 깊은숨을 내쉬었다. 23년 동안 이곳에서 거주하며 민박집을 운영해 온 안 씨는 산불로 하루아침에 삶의 터전을 잃어버렸다. 안 씨는 “3시간 동안 집에 난 불에 호스로 물을 뿌려봤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물건 하나 건진 게 없고 몸 하나 간신히 나왔다”고 그날의 두려움을 전했다. 안 씨는 “지금 입고 있는 옷도 지인의 옷”이라며 기자에게 답답함을 털어냈다. 잿더미 위에 올라 한참을 서성이던 안 씨는 빈손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12일 강원 강릉 아이스 아레나에 마련된 산불 피해 임시 대피소에서 최영주(44) 씨가 딸 우승연(11) 양과 포옹하고 있다. 최 씨는 갑자기 들이닥친 산불에 딸에게 필요한 약과 핸드백만 가지고 서둘러 몸만 빠져 나왔다며 앞으로의 생활이 막막하다고 말했다. 문호남 기자
  최 씨가 딸을 품에 안은 채 산불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문호남 기자
  산불 피해 임시 대피소에서 이재민들이 아침 식사를 위해 줄을 서고 있다. 문호남 기자

“괜찮아질 거야”

산불 피해 임시 대피소가 마련된 강릉 아이스 아레나에서 만난 최영주(44) 씨의 눈은 빨갛게 충혈돼 있었다. 최 씨는 “갑자기 들이닥친 산불에 딸에게 필요한 약과 핸드백만 가지고 서둘러 몸만 빠져나왔다”라며 “근처에 소방차가 없어 집이 타들어 가는 모습을 그저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고 당시 현장의 급박한 상황을 전했다. 그는 “당장 갈 곳이 없어 아이들과 앞으로의 생활이 막막하다”고 눈물을 글썽였다. 이야기를 듣던 딸 우승연(11) 양은 말없이 엄마 최 씨를 꼭 껴안았다.

  11일 오전 강원 강릉시 난곡동의 한 야산에서 난 불이 주택 인근으로 번지자 주민들이 화재 현장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강원 강릉시 난곡동 한 야산에서 산불이 발생해 인근 주택이 화재로 전소돼 있다. 문호남 기자
  산림청 공중진화대원이 잔불을 정리하고 있다. 문호남 기자
  강원 강릉시 난곡동 야산 화재 발생 다음날인 12일 강릉시 저동 펜션 밀집 지역이 전소돼 잔해만 남아 있다. 문호남 기자
  펜션 밀집 지역이 산불 피해로 폐허로 변해 있다. 문호남 기자
  유아용 자전거의 바퀴가 녹아 없어졌다. 문호남 기자

전날 강릉 난곡동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은 8시간 만에 주불이 잡혔다. 3월부터 이어진 고온 건조한 날씨와 봄철 백두대간 동쪽 경사면을 타고 부는 강한 서풍(양간지풍)이 불길을 키웠다. 이번 산불로 축구장 면적(0.714ha) 530배에 이르는 산림 370ha가 잿더미로 변했다. 1명이 숨지고 주민과 소방대원 등 16명이 다쳤다. 323세대 649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강릉 방해정 등 문화재 유실 피해도 있었다. 산불 피해 모습과 이재민 쉼터 등 현장의 사진을 모아봤다.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의 일상 복귀를 기원한다.

문호남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