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호가 처음 찍은 ‘달’ 뒷면엔…설악산 2배 높이 봉우리 ‘우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형 달 궤도 탐사선인 '다누리'가 지구에서는 볼 수 없는 달 뒷면의 생생한 지형을 담은 사진을 보내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지난해 8월5일 발사된 한국형 달 궤도 탐사선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의 고해상도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다누리가 촬영한 영상에서는 달 지표면 충돌구부터 충돌구 속 우뚝 솟은 봉우리 등 자세한 형상까지 선명하게 보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기정통부 “탐사임무 순조롭게 진행중”
한국형 달 궤도 탐사선인 ‘다누리’가 지구에서는 볼 수 없는 달 뒷면의 생생한 지형을 담은 사진을 보내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지난해 8월5일 발사된 한국형 달 궤도 탐사선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의 고해상도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미국과 러시아 등이 달 탐사 과정에서 달 뒷면 지역의 사진을 촬영한 바 있으나, 한국 탐사선이 직접 촬영한 사진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은 지난달 22~24일 사이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 달 반대편의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지역과 슈뢰딩거 계곡 지역,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지역을 다누리에 탑재된 고해상도 카메라(LUTI)로 촬영한 것이다. 다누리가 촬영한 영상에서는 달 지표면 충돌구부터 충돌구 속 우뚝 솟은 봉우리 등 자세한 형상까지 선명하게 보인다.
이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건,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한가운데 불쑥 솟은 봉우리다. 치올콥스키 크레이터는 지름이 약 180㎞나 되는 거대한 구덩이다. 서울 남북 간 거리가 30.3㎞이니 그 규모를 짐작할 만하다. 지난달 22일 촬영한 영상에는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한가운데에는 설악산 높이(1708m)의 2배에 가까운, 3200m 높이의 봉우리가 선명하게 담겨 있다.
이틀 뒤인 24일엔 슈뢰딩거 계곡과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지역도 촬영했다. 이날은 다누리가 달 궤도를 1천번째 공전한 날이기도 하다. 슈뢰딩거 계곡은 슈뢰딩거 충돌구가 만들어질 때 함께 형성된 것으로, 추정 길이 320㎞, 폭 8~10㎞ 규모다. 긴 계곡 형태의 지형은 달의 조석력 등에 의해 여러 개로 쪼개진 작은 운석 무리가 줄지어 동시에 충돌하면서 생성된 것으로, ‘사슬형 충돌구’(크레이터 체인)로도 불린다. 또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는 지름 23㎞ 크기의 크레이터로, 주변 테두리가 후속 충격으로 모양이 변형된 형태를 띤다.
조선학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다누리가 달에서 순조롭게 관측 영상과 데이터를 보내 오고 있다”며 “앞으로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달 과학 연구 성과를 공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단독] 국가가 대신 내준 양육비 징수 고지서, 절반 넘게 ‘반송’
- 야권, 50억 클럽 특검 ‘패스트트랙’ 초읽기…‘8개월 숙성’ 속내는?
- 지하철 끼여 타다 2명 실신…“압사 공포는 그냥 일상” [영상]
- 한국 수출 1위국, 20년 만에 중국에서 미국으로 대이동
- 반도체 탓만 할 수 없는 ‘추락’…세계수출 한국비중 3.2%→2.8%
- 포로 참수 영상에 분노한 우크라 “짐승들”…러시아 “검증부터”
- “69시간만 일해도”…‘100시간’ 과로에 병드는 임상심리사 수련생들
- 미국 성선설, 위조설, 제3자설…대통령실발 ‘도청 자충수’
- 정순신 ‘공황장애’ 학폭청문회 또 불출석…아들은 ‘심신미약’
- 뱀 ‘앞구르기’ 첫 포착…“은밀한 종, 공중 뛰어올라 몸 둥글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