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연, 신약 발굴용 나노포어 센서 세계 최초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신약 개발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신약 발굴 센서를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은 지승욱 바이오의약연구부장 연구팀이 단일 분자 수준에서 극미량, 초고감도로 측정 가능한 고효율 신약 발굴용 나노포어(nanopore) 센서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신약 개발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신약 발굴 센서를 개발했다. 그동안 후보물질 탐색이 어려웠던 질환 표적들에 대한 새로운 신약 개발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은 지승욱 바이오의약연구부장 연구팀이 단일 분자 수준에서 극미량, 초고감도로 측정 가능한 고효율 신약 발굴용 나노포어(nanopore) 센서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건 신약개발 과정에서 첫 단추에 해당한다. 적합한 후보물질을 발굴하려면 치료하고자 하는 표적 질환 단백질과 약물 간 결합을 분석하는 게 관건이다. 기존 분석기술은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입해야 해 효율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았다.
이에 나노포어 센서를 이용한 분석기술이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나노포어 센서란 1㎚(나노미터, 1㎚는 10억분의 1m) 크기 구멍을 통해 이온 흐름을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센서다. 생체분자가 나노포어 내부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측정해 단일 분자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다만 기존 나노포어 센서는 크기나 전하가 다양한 단백질을 측정하기 어렵고 단백질의 약물 결합 여부를 구분하기에는 민감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단백질 엔지니어링 기술을 이용해 1㎚ 크기 구멍으로 표적 단백질을 하나씩 포집해 분석할 수 있도록 깔때기 구조의 센서를 디자인했다. 이를 통해 표적 단백질을 한 번에 한 개씩 개별 측정이 가능해졌다. 또 약물 분석에 필요한 시료량을 기존 대비 4500배 줄이면서 분석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였다.
지 부장은 “(이번 성과로) 향후 신약 발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켜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그동안 신약 개발이 어려웠던 분야에서도 후보물질 발굴이 활발히 일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가 담긴 논문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지난 4일 온라인 게재됐다.
참고자료
Nature Communications, DOI: https://doi.org/10.1038/s41467-023-37098-4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인력 부족한 지자체… 외국인 계절 근로자 브로커 활개
- 브로드컴은 쓰는데…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 공급’ 지지부진한 이유
- [세종 인사이드아웃] 李 대통령이 중앙부처에 내려보낸 ‘훈시’, 어떤 내용인지 봤더니
- 건설 경기 침체에 살얼음판 걷는 건설사…하루 평균 1.5곳 폐업
- K-항암제 ‘렉라자’ FDA 승인 1년…美 환자 4명 중 1명이 쓴다
- 에어비앤비 운영 가능하다던 해운대 앞 오피스텔, 알고 보니… ‘신탁사 동의 없는 분양’
- 이달 하순 과천·잠실에 ‘로또 청약’ 나온다…‘신혼희망타운·디에이치·르엘’ 접수
- 트럼프, 美 무기 구매 요청 가능성에… 韓, 대응책 골몰
- [비즈톡톡] “HBM 최종 승자는 1~2곳”… 시장 재편에 메모리 빅3 셈법은
- 무주택가구 1000만 육박… 서울 50%가 ‘내 집’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