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ountain] Mystery of the Painting of Heavenly Horse (KOR)

2023. 4. 12. 11: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LEE KYOUNG-HEE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JoongAng Ilbo Innovation Lab. The national treasure Cheonmado, or Painting of the Heavenly Horse, was discovered in 1973 during the excavation of the Gyeongju Cheonmachong, a royal tomb. Its original name is "Baehwasupi Cheonmado Jangni."

국보 '천마도'는 1973년 경주 천마총 발굴 과정에서 출토됐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We must treasure it so it can be hand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s to come.

LEE KYOUNG-HEE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JoongAng Ilbo Innovation Lab. The national treasure Cheonmado, or Painting of the Heavenly Horse, was discovered in 1973 during the excavation of the Gyeongju Cheonmachong, a royal tomb. Its original name is “Baehwasupi Cheonmado Jangni.”

A jangni refers to a saddle flap hanging on both sides of the horse to prevent soil from splashing. The jangni on Cheonmado was made by attaching layers of birch bark to make it flat and a thin strip of leather hem added around it.

A powerful flying Cheonma, or heavenly horse, was drawn in the middle, surrounded by vine patterns. Aside from the tomb mural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until the Silla dynasty conquered them in 676 AD, it is almost the only Silla painting from around the 5th century.

According to the testimony of Kim Jung-ki, the late head of the Cheonmachong excavation team, it was Hwangnam Daechong, not Cheonmachong, that former President Park Chung Hee ordered to excavate.

Hwangnam Daechong is a large twin tomb with a height of 22 meters (72 feet) and a length of 120 meters from the north to the south. Excavating the largest ancient tomb in Korea was risky. Kim proposed a trial excavation of the relatively small Cheonmachong, 12.7 meters in height and 60 meters in length. The Blue House accepted his proposal.

After excavations began on April 6, 1973, precious relics such as gold earrings began to be found in three months. A total of more than 10,000 artifacts, including national treasures such as golden crowns, golden caps and Cheonmado, were discovered.

Thanks to the successful excavation of Cheonmachong, the excavation of Hwangnam Daechong began. More than 58,000 artifacts, including gold crowns, were excavated from the huge tombs.

Excavations of Geumgwanchong and Seobongchong, which were done during the imperial Japanese occupation, did not produce reports, so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he omission of investigation details.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we dug up the tombs of our ancestors with our hands, but the system was not properly established until the Tomb of King Muryeong in Gongju in 1971. It took only 17 hours for the tomb of the Baekje dynasty king to be excavated completely. It could not avoid the criticism that it was a hasty excavation.

The excavation of Cheonmachong — the first national excavation on our own after liberation — was a major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Korean archaeology. It took eight months to proceed carefully and scientifically. In the process, the system of tomb excavation was established, and professional archeological researchers were trained.

Celeb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the excavation of Cheonmachong, various commemorative events will be held, including the Gyeongju National Museum’s first display of the actual “Cheonmado” in nine years.

It is a rare opportunity to see a relic that is vulnerable to light. We must treasure it so it can be hand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s to come.

‘천마도’ 발굴 50돌이경희 이노베이션랩장

국보 ‘천마도’는 1973년 경주 천마총 발굴 과정에서 출토됐다. 옛 명칭은 ‘백화수피제천마도장니'. 장니(障泥·말다래)는 말안장과 연결해 말 옆구리에 늘어뜨려 흙이 튀지 않도록 막아주는 부속품이다. 천마도 장니는 자작나무 껍질을 겹겹이 붙여 편편하게 하고 둘레에 얇은 가죽 단을 덧대어 만들었다. 가운데에는 힘차게 비상하는 천마를, 주변에는 덩굴무늬 등을 그렸다. 삼국시대 벽화고분을 제외하면 거의 유일한 5세기 전후 신라 회화 작품이다.

김정기(1930~2015) 당시 천마총 발굴단장의 생전 증언에 따르면 당초 박정희 전 대통령이 발굴을 지시한 건 천마총이 아니라 황남대총이었다. 황남대총은 높이 22m, 남북 길이 120m에 이르는 대형 쌍분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덩치가 큰 고분을 발굴하는 건 위험부담이 컸다. 상대적으로 작은(높이 12.7m, 동서 길이 60m) 천마총을 시범적으로 발굴하자고 설득했고, 청와대는 전문가의 의견을 받아들였다.

1973년 4월 6일 발굴을 시작해 3개월 만에 금귀걸이 등 유물이 나오기 시작했다. 뒤이어 금관·금관모·천마도 등 국보를 포함해 총 1만점이 넘는 유물이 쏟아져나왔다. 천마총의 성과에 힘입어 황남대총 발굴도 시작됐다. 황남대총에서는 금관을 비롯해 5만80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됐다.

일제강점기에 발굴된 금관총·서봉총 등은 보고서를 발간하지 않아 조사 내용이 누락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해방 후 비로소 우리 손으로 조상의 무덤을 파헤쳤으나 1971년 공주 무령왕릉까지만 해도 체계가 제대로 잡히지 않았다. 무령왕릉은 묘실 개방부터 유물 수습까지 17시간 만에 해치워 졸속 발굴이라는 비난을 피할 수 없었다. 해방 후 첫 국책 발굴사업이었던 천마총은 한국 고고학 역사상 큰 전환점이 된다. 유물과 유적의 실측 개념을 최초로 도입하는 등 신중하게 진행해 총 8개월이 걸렸다. 그 과정에서 고분 발굴 체계를 확립하고 고고학 전문 연구 인력을 양성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천마총 발굴 50주년을 맞아 9년 만에 국립경주박물관에서 다음달 ‘천마도’ 실물을 전시하는 등 다양한 기념사업이 열릴 예정이다. ‘천마도’는 빛에 약한 유물이라 볼 기회가 흔치 않다. 후대에 오래 전하도록 아껴 봐야겠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