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풍, 그 시대의 메타버스 [아트총각의 신세계]

김선곤 미술전문기자 2023. 4. 12. 10: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선, 병풍의 나라2 전시
시대의 문화 깃들어 있는 병풍
활용 목적에 따라 소재도 달라
공간에 그림 넣어 다른 차원 인식
호피장막도 8폭 병풍, 종이에 채색.[사진=뉴시스]

화장품 브랜드인 아모레퍼시픽의 철학 중 하나는 아마도 '관계성'일 거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화장품이란 결국 관계를 위해 사용하는 물품이어서다. 흥미롭게도 아모레퍼시픽의 이런 개성은 그들의 창업자가 만든 미술관에서도 엿볼 수 있다.

아모레퍼시픽의 본사를 방문해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지하층부터 2층까지는 외부인의 출입이 자유로운 상업용 공간을 배치했는데,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은 그곳에 있다. 주변의 상업적인 공간을 통해서 흘러들어온 발길이 자연스럽게 미술관으로 이어지도록 만들었다.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측이 아마도 '일상 속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열린 공간, 그리고 다양한 관계가 만들어질 수 있는 장소로서의 미술관'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얼마 전 이곳에서 '조선, 병풍의 나라2'를 관람한 필자는 마음과 몸이 치유되는 듯한 느낌을 받있다. 그럼 전시회 이야기로 들어가보자.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진행하는 전시는 언급했듯 '조선, 병풍의 나라2'다. 4월 30일까지 미술관1 6전시실에서 진행한다.

이 전시에선 2018년 '조선, 병풍의 나라'에서 소개하지 않은 작품들과 새롭게 수집한 병풍을 다수 내놨다. 조선시대부터 근대기까지의 민간 병풍과 궁중 병풍을 망라해 소개했는데, 근대병풍은 별도로 공개했다.

귀로 10폭 병풍, 종이에 수묵.[사진=아모레퍼시픽 제공]

병풍엔 그 시대의 문화가 깃들어있다. 민간병풍과 궁중병풍은 활용의 목적이 달라서인지 소재도 다른 경우가 많다. 혹자는 병풍을 인테리어의 한 부분으로 규정하곤 하지만, 그 시대의 감성으로 보면 제사나 공식적인 행사에서만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이 때문에 박물관이 소장한 병풍은 마치 '박제'한 것 같았는데, 이곳에서 본 병풍은 좀 더 생동감이 넘치고 신선했다.

자! 작품 하나하나를 살펴보자. '호피장막도8폭병풍'은 가로 355㎝, 세로 128㎝ 크기의 8폭 병풍이다. 그중 여섯폭에는 호피 장막만 그려져 있다. 장식으로 쓰인 호피는 기풍이 넘친다. 다만, 이 장막은 실은 호피가 아닌 '표범 가죽'을 그린 것이다. 당시 호랑이 가죽이 얼마나 귀한 물품이었는지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나머지 두폭에는 표피 장막 아래 책상과 각종 중국 고기물을 그려 넣었다. 귀한 것을 가까이 하고 싶은 사람의 마음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제작한 병풍으로 보인다.

흥미로운 건 지금부터다. 병풍 그림 안엔 서첩이 펼쳐져 있는데, 정약용의 차운시다. 차운시는 남의 운자를 써서 지은 시를 의미하는데, 서첩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적혀 있다. "산정에서 대작하며 진정국사의 시에 차운(山亭對酌次韻眞靜國師)" "산정에서 꽃을 보다가 또 진정국사의 시운에 차운하다(山亭對花又次眞靜韻)." 마지막 시는 5행 중 2행만 있다.

곤여전도 8폭 병풍, 비단에 채색.[사진=아모레퍼시픽 제공]

특색 있는 병풍은 또 있다. 외국 선교사가 조선의 왕족에게 선물한 세계지도가 그려진 병풍이다. 당시 민중은 기복신앙을 믿고 있었지만 지배층 사람들은 이미 차원이 다른 세계를 인식하며 살았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만난 병풍이란 매체엔 다른 차원의 세계관이 담겨 있다. 병풍이란 공간에 그림을 넣어 다른 차원을 인식하려 했던 선조들의 지혜도 어림잡을 수 있다.

전시를 보다 보면, 그 시대 사람들에게 병풍이 지금의 메타버스였을 것 같다는 생각도 스친다. 이렇게 병풍에 숨은 조용하면서도 획기적인 기법을 만끽하고 싶은 이들에게 이 전시를 추천한다.

김선곤 더스쿠프 미술전문기자
sungon-k@thescoop.co.kr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