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기자상] 서울로 가는 지역 암 환자, 고난의 상경치료

박준용 한겨레 기자 2023. 4. 11. 22: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어쩌면 서울 몇몇 공간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고민을 더 적나라하게 말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지역에서 SRT 고속열차를 타고 온 서울로 치료를 받으러 온 암 환자와 보호자들이지요.

소아암·희귀질환 등 지역에 담당 의사가 없어 치료가 힘들거나, 지역 병원을 신뢰하지 않는 환자들이 그곳에서 높은 주거비 부담을 감내하며 지냅니다.

이를 위해 '서울 공화국'이 외면한 지역 환자들의 마음도 들여다봐야 합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390회 이달의 기자상]
박준용 한겨레 사회정책부 기자 / 기획보도 신문·통신부문
박준용 한겨레 기자

어쩌면 서울 몇몇 공간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고민을 더 적나라하게 말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평일 오전 수서역 앞. 그곳 풍경은 지역 의료 불평등의 축소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곳에서 서울의 대형병원으로 가는 버스를 기다리는 줄이 길게 늘어섭니다. 지역에서 SRT 고속열차를 타고 온 서울로 치료를 받으러 온 암 환자와 보호자들이지요. 수도권 대형병원 앞 원룸·고시텔 등 소위 ‘환자방’도 마찬가지입니다. 지역 중증 환자와 가족이 그곳에 있습니다. 소아암·희귀질환 등 지역에 담당 의사가 없어 치료가 힘들거나, 지역 병원을 신뢰하지 않는 환자들이 그곳에서 높은 주거비 부담을 감내하며 지냅니다.

역과 병원 앞. 이곳을 바쁘게 오가는 많은 서울 사람들은 오히려 이 공간에 담긴 이야기에 귀 기울이지 않게 되기도 합니다. 너무 익숙하니까요. 저 또한 그중 한 명이었습니다. 우연한 계기에 대형병원 인근에서 나눠주는 ‘환자방’ 전단지를 보게 됐고 이 문제를 그제야 알게 됐습니다. 지난해 말부터 4개월 가까이 취재한 수십 명의 상경 치료 환자들은 절박한 마음으로 서울로 향했습니다.

지금도 취재했던 암 환우 커뮤니티에서는 “서울 병원으로 가야할까요?”라는 질문이 끊임없이 업로드됩니다. 암의 경우 우리가 기대 수명(83.5살)까지 살면 3명 중 1명이 겪게 되는데, 어디에서나 잘 치료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이 사라져가는 셈이죠. 이런 믿음을 되살리기 위해선 국가가 지역 의료 자원 확충과 환자에 정확한 정보 제공을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서울 공화국’이 외면한 지역 환자들의 마음도 들여다봐야 합니다.

Copyright © 기자협회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