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항친수공원 곧 완전 개방하는데…시·구 서로 관리 미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산항 북항 친수공원이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 방문에 맞춰 지난 3일 일부 개방한 데 이어, 오는 6월 준공까지 앞뒀으나 상당 기간 '반쪽 개방'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공원 면적(19만㎡)이 부산시민공원(47만㎡)의 40%에 이를 정도로 넓어 관리 예산 및 인력 등 소요 비용이 큰 탓에 부산시와 기초지자체 간 관리주체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지자체는 부산시민공원을 시설공단 등이 관리하는 형태로 시가 맡아주길 바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부산시 “중·동구가 나눠 관리”
- 구 “시민공원처럼 市가 맡아야”
- 6월 조성 후에도 이용 제한될 듯
- 수로 펜스 미설치 등 안전 우려
부산항 북항 친수공원이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 방문에 맞춰 지난 3일 일부 개방한 데 이어, 오는 6월 준공까지 앞뒀으나 상당 기간 ‘반쪽 개방’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공원 면적(19만㎡)이 부산시민공원(47만㎡)의 40%에 이를 정도로 넓어 관리 예산 및 인력 등 소요 비용이 큰 탓에 부산시와 기초지자체 간 관리주체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11일 오후 국제신문 취재진이 방문한 친수공원은 마무리 공사가 한창이었다. 최근 실사단 방문을 맞아 개방했다고 하지만 지하 주차장 등 아직 공사가 끝나지 않은 곳을 쉽게 볼 수 있었다. 특히 바다와 이어지는 수로에는 안전펜스가 미처 설치되지 않은 구간도 있어 자칫하면 안전사고도 날 수 있었다.
이 공원은 바다를 끼고 있어 물에 빠지는 수난사고 가능성이 있어 안전 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하지만, 현재 개방된 공간 4만9000㎡를 관리하는 인원은 부산항만공사(BPA)가 용역업체를 통해 고용한 2명에 그친다. 인력이 부족하다 보니 개장 시간도 오전 9시~오후 5시로 평일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은 얼마 되지 않는다.
7살 된 아이와 나들이를 나온 이모(41·동구) 씨는 “시민공원에서처럼 아이에게 공이나 무선조종 자동차를 쥐어 준 후 잠시 쉬려 했지만 사고가 날 것 같아서 포기했다. 안전요원 찾기가 어렵다는 점도 의아했다”고 말했다.
문제는 오는 6월 공원 전체 면적인 19만㎡가 조성된 후에도 지금처럼 한정된 공간(4만9000㎡)을 낮 시간대에만 이용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공원 조성 주체인 BPA가 공원을 조성한 후 지자체가 관리권을 넘겨받아야 하지만, 현재로서는 맡겠다는 지자체가 없다.
애초 부산시는 공원을 끼고 있는 중구와 동구에 각각 관리권을 나눠줄 계획이었다. 그러나 두 지자체는 부산시민공원을 시설공단 등이 관리하는 형태로 시가 맡아주길 바란다. 관리 예산을 시에서 지원받는다 하더라도, 넓은 해변 공원을 관리한 경험이나 전문지식이 부족하다는 게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중구 김성용 안전도시과장은 “시나 기관이 일원화해서 관리를 맡는 방안이 제일 낫다고 본다”고 했다. 동구 이소영 시설녹지과장 역시 “애초에 BPA는 관리 주체를 일원화하는 방향으로 설계한 것으로 안다. 그것이 더 효율적이다”고 말했다.
BPA도 시의 ‘관리권 쪼개기’ 추진에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다. 중구와 동구가 공원을 나눠 관리하게 되면 다음 달 준공이 예정된 관리사무소(동구 소재)에 더해 추가로 한 곳을 더 지어야 하며 이 경우 공원 실시설계를 다시 해야 한다. BPA 관계자는 “시의 구상대로라면 시가 공원 설계단계에서부터 관리사무소를 2개 만들어야 한다고 요구해야 했지만 그런 요구가 없었다. 관리주체가 나눠지면 구청 여건에 따라 관리 불균형 등 여러 문제가 나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시가 친수공원 관리를 맡아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박종율(북구4·국민의힘) 부산시의원은 “두 지자체가 이원화해 관리하면 예산도 많이 들어가고 비효율적인 행정이 예상된다. 시가 시설공단으로 관리권을 넘기는 게 좋다고 생각해 의견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부산시 안철수 공원정책과장은 “시 산하 시설공단이나 푸른도시가꾸기사업소 등에 관리권을 넘기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공원 관리권 이관에 대해 정해진 바가 없다. 두 지자체와 해양수산부, BPA 등과 협의해 가장 좋은 방안을 찾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