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황판에 울려퍼지는 산사의 종소리

김슬기 기자(sblake@mk.co.kr) 2023. 4. 11. 17: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순기 개인전 ‘침묵의 소리’
주식정원과 90년대 사진 전시
“집에 갇혀 작업만 한 당나귀”
기면증 주제로 심래정 전시도
5월까지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영상 설치 신작 ‘주식 정원 - 템플’ [아라리오갤러리]
미국 주가지수 나스닥의 숫자가 출렁거린다. 한국 코스닥은 물론이고 독일, 영국, 말레이시아 등의 20여개 지수가 실시간으로 투사되는 검은 벽과 나란히 해 뜰 무렵 지리산 실상사의 영상이 흐르고, 33번의 종소리가 울려 퍼진다. 야자나무까지 놓인 전시장 1층의 텅 빈 공간은 김순기(77)의 신작 ‘주식 정원-템플’이다.

모든 것이 자본으로 환원되는 세상을 비판적으로 해석한 작품 앞에서 작가는 “주식의 숫자가 우리 몸에 새겨지는 시대이지 않나. 1990년대부터 해온 ‘주식거래’ 연작의 변주다. 주식 가치와 불교의 부처님 마음이 동등한 시대를 내가 장난기가 있어 이렇게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한국 실험미술 선구자’인 재불 작가 김순기의 개인전 ‘침묵의 소리’가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에서 개막했다. 5월 13일까지 열리는 전시는 작가의 철학이 구현된 신작과 바보 사진 연작 등이 소개된다.

독일 칼스루헤예술매체센터(ZKM)의 개인전을 막 마친 뒤, 광주비엔날레에 참여 차 방한한 그는 기자들과 만나 “1990년대부터 21세기는 자본주의, 기후, 디지털 등의 조건이 세계를 점령한다고 말해왔다. 내 말이 맞은 것 같다. 이런 조건들에 의해 미술 작품도 달라지는 시대가 됐다”면서 “돌아보니 45년을 대학에서 가르쳤는데도 집에 갇혀서 작업만 했다. 미련하게 하고 싶은 것만 하고 산 당나귀나 다름없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신 기술인 비디오를 가장 먼저 접했지만, 대학 시절엔 원시적 제의에 끌리기도 했다. 위층과 아래층에서 김순기의 여러 면모가 만난다”라고 설명했다.

‘깡통 통신’ [아라리오갤러리]
지하 1층을 채운 신작 ‘깡통 통신’도 비판 정신이 발휘된 작업이다. 이라크전쟁 당시 미군이 전파하는 뉴스가 일반적으로 전파된 모습에 문제의식을 갖고 드로잉한 것을 작가가 1991년부터 모은 깡통들을 실로 얼기설기 연결해 서낭당처럼 원시적인 사원을 세워 현실화했다. 깡통 통신과 다름없이 왜곡된 소통의 문제를 직시한다.

1982년 세계를 배낭여행 하면서 동서양의 예술과 철학을 탐구했던 작가는 모든 것을 자연 그대로 두는 방법을 사유한 작업도 남겼다. 바늘구멍 카메라를 사용해 장시간 빛에 노출해 사물과 풍경을 담은 ‘바보 사진’ 연작이다. 흐릿하고 몽환적인 이미지로 비디오 편집을 하던 컴퓨터가 놓인 작업실과 1990년대 중국의 무전여행 사진, 이틀 동안 노출해 우연히 찍힌 2개의 달 등 사진 10여점이 3층에 걸렸다. 작가는 “비디오로 갔던 이유는 빛을 가지고 작업을 하고 싶어서였다. 사진을 택한 것도 같은 이유”라고 말했다.

김순기의 1996년작 ‘아뜰리에2’ [아라리오갤러리]
3층에서는 신진 작가 심래정(40)의 개인전 ‘깨어나니 정오였다’도 동시에 열린다. 기면증을 주제로 삼은 키치적이고 감각적인 회화와 영상, 설치 등 14점이 전시된다. 그래피티 작업을 주로 해 온 작가는 “삶과 죽음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고 인간 신체에 궁금함이 있어서 이미지를 그려가면서 탐구해봤다. 기존에 쓰지 않던 원색을 썼고 페인팅은 학생 때 이후에 처음으로 했다”라면서 “죽은 동물을 먹는 새 콘돌을 비롯해 드로잉에 등장하는 파편적인 인체, 문장들은 심리적 상황을 표현한 작업들이다”라고 설명했다.
심래정의 2023년작 ‘안녕’ [아라리오갤러리]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