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응급환자 2명 중 1명 제시간에 응급실 못 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5년간 중증 응급환자 2명 중 1명은 적정 시간 안에 응급실에 도착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1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립중앙의료원에서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2018∼2022년 전국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응급실을 찾은 중증 응급환자 145만 명 가운데 71만 명(49.1%)은 적정 시간 내에 도착하지 못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8년 47.2%에서 5%p 상승
중증 외상 56.5%는 1시간 내 응급실 미도착
지난 5년간 중증 응급환자 2명 중 1명은 적정 시간 안에 응급실에 도착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대구에서 2시간 넘게 응급실을 찾지 못한 10대 환자가 숨졌는데, 같은 사례가 재발할 우려가 큰 상황이다.
1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립중앙의료원에서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2018∼2022년 전국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응급실을 찾은 중증 응급환자 145만 명 가운데 71만 명(49.1%)은 적정 시간 내에 도착하지 못했다. 중앙의료원의 질환별 적정 응급실 이송 시간은 심근경색 발병 후 2시간 이내, 출혈성·허혈성 뇌졸중 3시간 이내, 중증 외상 1시간 이내다.
적정 시간 내 응급실에 도착하지 못한 중증환자 비율은 2018년 47.2%에서 2019년 47.3%, 2020년 48.4%로 높아졌다. 2021년에는 50.8%로 50%대에 진입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52.1%(잠정치)로 더 상승했다. 2018년과 비교하면 4년 새 4.9%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질환별 응급실 적정 시간 내 미도착률은 중증 외상이 56.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심근경색(52.3%), 허혈성 뇌졸중(48.5%), 출혈성 뇌졸중(33.2%) 순이었다. 중증 외상환자 16만6,247명 중 9만3,859명이 사고 이후 1시간이 지나 응급실에 간 것이다. 중증 외상환자 적정 시간 내 미도착률은 2018년(48.5%)보다 8%포인트 상승했다.
중앙의료원은 적정 시간을 지키지 못한 이유를 의원실에 제출하지 않았지만 소방청의 '119구급서비스 통계 연보'로 어느 정도 유추는 가능하다. 지난해 통계 연보에 수록된 119구급대의 2021년 재이송 7,634건(1차 6,771건·2차 863건) 중 2,417건(32%)은 '전문의 부족'이 사유였다. '응급실 부족'은 860건(11%), '중환자실 부족'은 193건(2.5%)이었다.
최 의원은 "10대 응급환자가 사망한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사건으로 온 국민이 응급의료체계를 우려하고 있다"며 "제시간에 응급실에 도착하지 못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창훈 기자 chkim@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강릉 산불 미쳤다, 강풍에 어쩌냐" 누리꾼들이 공유한 현장
- ‘지옥철’ 김포골드라인서 승객 2명 호흡곤란 쓰러져
- '전두환 손자' 우원씨 "광주 다시 가서 실제 피해 보신 분들 얘기 들을 것"
- [단독] "소송 망쳐놓고 골프" 변호사 때문에 친족 사기 엄단 못 한 가족의 눈물
- 조승우 "목소리 안 나와 '오페라의 유령' 하차 고민"
- "너무 귀여워"…심형탁, 일본인 여자친구 공개 ('조선의 사랑꾼')
- 신입 소방관 괴롭힌 상관 징역1년6개월...검찰, 항소
- '하트시그널4' 측, 민폐 촬영 논란에 "주의하겠다"
- "16일 연속근무 일주일 되니 정신 혼미…아파도 못 쉬어요"
- ’살인율 1위’ 엘살바도르, 갱과의 전쟁 1년... 대통령 지지율 91%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