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의 아침] 이렇게 ‘환장’해도 되는 걸까/임병선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임병선 2023. 4. 11.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환장'(換腸)이란 단어가 공영을 표방하는 방송사의 예능 프로그램 제목에 버젓이 사용되는 요즈음이다.

사람 몸속의 장(腸)을 바꾸거나 꼬일 정도라는, 무시무시한 뜻을 품고 있는 단어다.

일부 매체는 '걸환장'이라고 줄인 제목을 아무렇게나 써대니 그럴 만하다 싶기도 하다.

젊은 제작진이라면 모르겠지만 책임 프로듀서나 방송국 중견간부, 적어도 사장님 정도면 이 단어가 얼마나 속되고 비루한 감정을 여과 없이 드러낸다는 것쯤 알 텐데 어찌 그냥 넘어가는가 싶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임병선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환장’(換腸)이란 단어가 공영을 표방하는 방송사의 예능 프로그램 제목에 버젓이 사용되는 요즈음이다. 사람 몸속의 장(腸)을 바꾸거나 꼬일 정도라는, 무시무시한 뜻을 품고 있는 단어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①마음이나 행동 따위가 비정상적인 상태로 달라짐, ②어떤 것에 지나치게 몰두해 정신을 못 차리는 지경이 됨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돼 있다.

지난 1월 22일부터 KBS-2TV에서 ‘걸어서 환장 속으로’가 방영되고 있는데 보고 듣는 바가 적어서인지 별다른 문제 제기가 없다는 사실이 신기하기만 하다. 일부 매체는 ‘걸환장’이라고 줄인 제목을 아무렇게나 써대니 그럴 만하다 싶기도 하다. 또 사람들이 시나브로 무뎌진 탓도 있으리라.

한글을 파괴하는 제목이라 여겨 정말 보고 싶지 않은데 어쩌다 우연히 보게 되는 때가 있다. 소리를 죽이고 봐도 하등 지장이 없다 싶게 툭하면 자막이 튀어나온다. ‘대환장’ 자막이 눈에 들어와 채널을 돌려 버렸다.

젊은 제작진이라면 모르겠지만 책임 프로듀서나 방송국 중견간부, 적어도 사장님 정도면 이 단어가 얼마나 속되고 비루한 감정을 여과 없이 드러낸다는 것쯤 알 텐데 어찌 그냥 넘어가는가 싶다.

콘텐츠를 만드는 이들이 언어를 파괴하는 일은 심심찮게 눈에 띈다. 2012년 KBS 드라마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차칸남자’는 한글 단체의 반대에 막혀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 남자’로 바로잡혔다. 현재 시즌 2가 방영 중인 MBC 오디션 프로그램 ‘방과 후 설렘’의 원래 제목은 ‘방과 후 설레임’이었다. 멀쩡히 홍보까지 했다가 지적받고 바로잡았다. 그나마 다행이었다.

2013년 tvN 드라마 ‘우와한 녀’는 숱한 지적을 이겨 내고(?) 제목을 지켰다. 2012년 영화 ‘반창꼬’도 한글 단체의 항의를 받았지만 끝내 제목을 바꾸지 않았다.

드라마 제목이 상상력과 과학 논란을 일으킨 일도 있다. 지난해 KBS 수목 드라마 ‘너에게 가는 속도 493㎞’의 ‘493’이 배드민턴 셔틀콕의 비공인 세계기록인 시속 493㎞를 의미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와 정재승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까지 문제점을 지적하기에 이르렀다.

물론 창작자의 상상력이나 문학적 표현을 가로막겠다는 의도로 이런 얘기를 꺼내는 것은 절대 아니다. 시적, 문학적 상상력의 발휘라면 적극적으로 권장해야 할 일이다. 수신료를 받아 운영되는 공영방송이니까 맞춤법을 확고히 지켜야 한다는 논리를 강요할 생각도 없다.

다만 공영이든 민영이든 제작진의 지적 수준을 한눈에 드러나게 하는 일은 지켜보는 이들에게 아득한 현기증을 불러일으킨다. 정말 눈이 어지러울 정도로 알록달록 열심히 자막을 넣었는데 혀를 차게 하는 일이 종종 벌어진다. 이것들을 어떻게 일일이 검증할 수 있겠느냐 싶기도 하다.

드라마도 문학적 비유나 상징의 공간인데 자꾸 지적질하면 어떻게 창작을 북돋울 수 있겠느냐는 현장의 반박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과잉된 자막, 과잉된 감정을 걸러내지 못한 채 우리말과 우리글을 파괴하고 있지 않은가 돌아보고 또 돌아봤으면 한다.

‘언어의 온도’라는 책을 펴냈던 이기주 작가의 책 중에 ‘언어의 품격’이 있는데 그중 한 구절을 돌아본다. ‘수준이나 등급을 의미하는 한자 품(品)의 구조가 흥미롭다. 입 구(口)가 세 개 모여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말이 쌓이고 쌓여 한 사람의 품성이 된다.’

임병선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