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가 바라보는 경기도형 챗GPT “지자체 선도” vs “지역특색 부족” [진화하는 AI, 경기도형 챗GPT]
경기도의 특징 담긴 정책 필요...부작용 등 보완책 마련도
경기도가 ‘경기GPT’를 통해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도정을 만들겠다고 강조한 것과 관련해 전문가들 사이에서 다양한 의견이 쏟아지고 있다.
도민들이 AI를 활용해 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면 행정 효율화를 이뤄낼 수 있다는 주장과 함께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특색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병호 고려대 인공지능연구소 교수는 10일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챗GPT는 아직 정보가 부정확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도가 경기GPT와 같은 자체적인 AI 시스템을 도입한다면 정확도 문제도 일부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국 AI 분야는 ‘발 빠른’ 작업이 성공을 보장하기 때문”이라며 “도가 챗GPT를 활용한 디지털 도정 구성에 앞장선다면 분명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 도를 따라 하려는 움직임이 뒤따를 것이다. 김동연 지사가 챗GPT 관련 강의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굉장히 고무적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 교수는 “도는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한국평가데이터 자료에 따르면 도에는 인공지능 및 데이터 관련 기업이 1만4천862개 있다”며 “이는 전국의 23.7% 수준으로, 우수한 백그라운드(배경)를 가진 도가 AI 정책을 선도한다면 인공지능 수도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챗GPT와 관련한 도의 적극적인 행보가 기대된다는 의견도 있지만, ‘지역 특색’이 없어 아쉽다는 목소리도 있다.
최재홍 강릉원주대 멀티미디어공학과 교수는 “경기GPT 도입 등 도의 시도 자체는 분명 좋다고 생각한다. 도에서 청사진으로 내놓은 AI 기반 콜센터 운영 등도 도민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점을 고려한 것 같아 성공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며 “다만 성공 여부와는 별개로 도만의 특징이 담긴 정책이 없다는 점은 분명 아쉽다. 콜센터 등은 도뿐만 아니라 어디에서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정책이 아닌 도만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전창배 IAAE 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 이사장은 챗GPT와 행정이 합쳐졌을 때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힘줘 말했다.
전 이사장은 “정책이라는 것은 ‘사람’이 주체가 돼서 수립 및 운영의 단계가 이뤄져야 한다. 그런데 AI가 개입한다면 정보 유출을 비롯해 잘못된 정보를 통제하는 것 등이 어려워진다. 이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도민에게 돌아간다”며 “효율을 높이는 데만 집중할 경우 각종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에, 확실한 보완책을 만드는 데 우선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임태환 기자 ars4@kyeonggi.com
손사라 기자 sarah@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침 짙은 안개…낮 기온 포근 [날씨]
- “인천 국회의원, 인천 현안 외면”…인천경실련 “정치권, 반성해야”
- 기다리다 지친 사장님들… 외국인 인력 도입 '하세월' [경기남부 외국인력 실태조사]
- “말 안 통하는 건 여전해요” 외국인 인력 필수지만… 불통 여전 [경기남부 외국인력 실태조사]
- 국내 첫 백일해 사망자 발생…"1세 미만 영아"
- 한동훈 “드디어 민주당도 탈원전 정책 잘못된 것 인정”
- '도심 불법집회' 민주노총 조합원 4명 구속영장 모두 기각
- 인천지역 등굣길 주의 ‘박치기 아저씨’ 출몰… 경찰 추적중
- 경기일보-고양연구원 ‘DC 건립, 합리적인 방안은?’…18일 토론회
- “시민이 가르치고 배우는 인천”…인천형 시민교수 102명 위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