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대만 반도체 전쟁에 대학 참전… 첨단인재 확보 사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반도체를 비롯해 국가 산업 경쟁력과 직결되는 첨단분야 학과 규제 개선에 나서면서 관련 인재 육성에 활기가 돌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일본과 대만도 이공계열에 대한 보조금 지원과 대학 정원 규제 개선에 나서면서 한국·일본·대만간 첨단업종 인재 확보 경쟁에 본격적인 불이 붙고 있다.
일본 정부는 대학뿐만 아니라 구마모토 지역 인근에 반도체 전문 고등전문학교(한국의 직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 과정을 합친 5년제 교육기관)를 신설해 반도체 개발·제조 관련 최일선 분야의 인재 양성에 나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日·대만 이공계에 보조금 지원도
서울대 "내년 첨단융합학부 신설"
구직난 해소에 인력풀 확대 기대
■서울대, 30년만에 첨단학과 정원 확대
10일 교육계와 업계에 따르면 2024학년도 입시부터 대학의 정원 조정 자율화가 이뤄지면서 서울대(첨단융합학부)를 비롯해 동국대(시스템반도체학과), 한국외대(AI융합대학) 등이 첨단분야 학과 신설을 교육부에 신청했다.
서울대의 첨단융합학부는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초연결기술 △융합데이터과학 △지능형반도체 △지속가능기술 △혁신신약의 6개 전공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신청안이 통과되면 서울대 정원은 30여년만에 입학 정원이 수 백명 늘어나게 된다.
그간 수도권 대학의 정원은 수도권 과밀화를 막는다는 명목으로 10만9000명 가량으로 묶여 있다. 이 때문에 수도권 대학들은 학과 신설을 위해선 총 정원 내 구조조정 방식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업계 관계자는 "대학 졸업생들은 구직난에 시달리는데 기업들도 덩달아 구인난에 허덕이는 '채용 미스매치' 현상에 골머리를 썩었다"면서 "이번 교육당국의 결정으로 산업전선에서 필요한 인력풀이 더 늘어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은 지난 2월 "반도체 학·석·박사 기준으로 2031년에는 총 5만4000명의 인력 부족이 예상된다"고 말한 바 있다.
■일·대만도, 반도체 인력 확보 총력
반도체 등 첨단 산업 인력 확보 전쟁은 일본과 대만도 마찬가지다.
일본 정부도 작년부터 취약한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에도 사활을 걸었다. 일본 정부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인 대만의 TSMC가 공장을 건설 중인 구마모토 지역을 일본의 반도체 인재의 중심지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TSMC 인근의 국립 구마모토대학은 2024년에 반도체 인재를 육성하는 정보융합학부를 신설한다. 이 대학의 학과 신설은 반 세기 만으로, 입학 정원 60명으로 시작해 2032년에는 140명 규모로 늘릴 방침이다.
구마모토 대학이 반도체 관련 학과를 신설하는 데에는 인근 TSMC 공장과 더불어 일본 정부의 보조금 정책이 꼽힌다. 올 초 일본 문부과학성은 앞으로 10년간 이공계열 학부 250곳을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일본 의회는 문부과학성의 심사를 통과한 대학에는 최대 20억엔(약 190억원)의 보조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대학뿐만 아니라 구마모토 지역 인근에 반도체 전문 고등전문학교(한국의 직업계 고등학교와 전문대 과정을 합친 5년제 교육기관)를 신설해 반도체 개발·제조 관련 최일선 분야의 인재 양성에 나섰다.
대만은 일찌감치 정부 차원의 반도체 인재 양성에 힘을 쏟았다. 2021년 반도체 관련 석·박사를 배출하는 고급인재 양성의 전초기지인 '중점과학기술연구학원'을 △대만대 △칭화대 △양명교통대 △성공대 등 4개 국립대에 설치했다. 이는 대만 입법원(국회)이 2021년 5월 제정한 조례에 따른 조치다.
이 밖에도 대만 정부는 △반도체 △인공지능(AI) △재료공학 △기계공학 등 반도체 관련 핵심 분야에선 학사 정원의 10%, 석·박사 정원의 15%를 늘리는 등 정원 관련 규제를 대폭 풀었다.
서울지역 한 대학 교수는 "챗GPT 등 매일같이 세상에 없던 새로운 혁신 기술이 쏟아지고 있는데 서울대 조차도 정원에 묶여 세상의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면서 "보조금이나 적극적인 규제 혁파를 통해 대학이 먼저 바뀌어야 반도체, 이차전지, 인공지능 등 산업이 초격차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엄마하고 삼촌이랑 같이 침대에서 잤어" 위장이혼 요구한 아내, 알고보니...
- 남편상 사강, 4년만 안방 복귀…고현정 동생
- "치마 야하다고"…엄지인, 얼마나 짧기에 MC 짤렸나
- 추신수 아내 하원미 "은퇴한 동료 80% 이혼했던데…"
- 서현진, 유재석 재산 언급 "오빠 1000억은 되지?"
- 한지일, 전재산 100억 잃고 기초수급자 "고독사 두려워"
- "인형에게 모유수유"…20대女, 무슨 일이길래 [헬스톡]
- 이윤진 "'밤일'한다는 루머, 억장 무너져…열애설도 가짜"
- "파병 온 북한군, 인터넷 자유로운 러시아서 음란물에 중독"
- '조롱 논란' 박수홍♥김다예, 딸 출생신고 철회 "비상사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