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청’ 기밀유출 미국인 소행 추정...조작 가능성 염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이 한국 등 동맹국들을 도·감청해 온 정황이 담긴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미군 기밀 문건이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유출돼 파장이 커지는 가운데, 미 정부가 이번 문건 유출이 동맹국이 아닌 미국 내에서 이뤄진 자국민의 소행으로 보고 조사를 진행 중이다.
동시에 미 당국은 문건 유출 조사 과정에 혼선을 주거나 미국의 안보 이익을 해칠 수 있는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기 위해 '기밀문건' 자체가 조작됐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관련국과 물밑접촉 파장 최소화
미국이 한국 등 동맹국들을 도·감청해 온 정황이 담긴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미군 기밀 문건이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유출돼 파장이 커지는 가운데, 미 정부가 이번 문건 유출이 동맹국이 아닌 미국 내에서 이뤄진 자국민의 소행으로 보고 조사를 진행 중이다.
9일(현지시간) 로이터는 전직 국방부 고위 관리를 인용해 “(유출된) 많은 기밀 문서가 미국의 손에만 있었던 것”이라면서 “이제 초점은 이것이 미국에서 새어나간 정보라는 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관계자들 역시 미 정부 관계자를 포함한 미국인의 소행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 뉴욕타임스(NYT) 등 미 언론은 SNS를 통해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대한 미 정부의 기밀 문건이 유출됐고, 여기에 김성한 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과 이문희 전 외교비서관 등 외교안보라인 관계자들이 우크라이나에 포탄을 지원하는 방안을 고심하는 대화가 포함됐다고 전했다. 문서에는 해당 정보가 미국 정보당국이 전화 및 전자메시지를 도청하는 데에 사용하는 시긴트(SIGINT·신호 정보) 보고에서 확보됐다는 표현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미 언론들은 유출된 문건에는 한국 뿐 아니라 이스라엘, 영국 등 우방을 포함한 다양한 나라의 국내 문제와 관련한 정보가 담겨 있다고 전했다.
현재 미국 정부는 유출된 기밀의 규모와 내용, 유출경로 등을 파악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미국 국방부는 법무부에 문건 유출에 대한 조사를 공식 의뢰한 상태다.
로이터는 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정부 관계자가 불만을 품었을 경우와, 미국의 국가 안보 이익을 훼손하기 위한 이들에게 내부자가 위협을 받았을 경우 등 네다섯가지 시나리오를 가정해 조사가 진행 중이다”고 전했다.
동시에 미 당국은 문건 유출 조사 과정에 혼선을 주거나 미국의 안보 이익을 해칠 수 있는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기 위해 ‘기밀문건’ 자체가 조작됐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일부 내용을 러시아가 조작했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방부 자체적으로 내부에 얼마나 많은 정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공유되고 있는지도 조사 중이다. 익명을 요구한 국방부 관계자는 앞서 국방부와 정보기관들의 정보 유출 우려가 있기도 했지만, 이번에 유출된 문서들은 최근 것이 아니라 대부분 한 달 이상 된 문건이라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기밀 보호 시스템이 시대를 역행하고 있으며 대대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오바마 행정부 시절 백악관 관리이자 안보컨설팅 전문가인 브렛 브렌은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대규모 보안 침해는 옛날 일이어야 한다”면서 “정보 통제와 점검이 충분이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기밀 보호 프로세스에 대한 대대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달 말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 방미를 앞두고 미 정부의 도감청 논란이 한미 동맹 관계의 악재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미 정부가 어떻게 대응에 나설 지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현재 워싱턴 외교가에서는 미국 정부가 과거처럼 사실관계 확인에 집중하면서 관련국과 물밑에서 소통하면서 파장 최소화에 나설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다만 한국의 외교·안보 사령탑에 대한 감청 의혹과 한국 국내에서 정보 수집 등이 이뤄진 점에 대해서는 미국의 적극적 대응과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주미 대사관 관계자는 “사실관계를 먼저 확인해야 하고, 필요 시 미측과 협의를 할 계획”이라면서 “다만 미국 측으로부터 사실관계를 확인받은 것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손미정 기자
balm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음주운전 3번’ 호란, MBC 복면가왕 출연…“범죄자 복귀 돕는 방송” 게시판 시끌
- "나가면 죽이겠다"…돌려차기 사건 가해자 보복 계획까지
- "상여금만 20억원"…'신의 직장' 어디길래
- “회장님 말고 재용님” 신입한테 외국어 어려움 토로도…MZ는 이런 리더 원한다
- ‘이승기 신부’ 이다인 웨딩드레스, 수천만원대 눈길
- “아! 또 20만명 배달 음식 끊었다” 배달비 1만원 시대, 단단히 뿔났다
- '70억 빚 청산' 이상민, 달달한 수산시장 데이트… 소개팅女 위해 '킹크랩' 플렉스
- “160만원→단돈 20만원, 말이 돼?” 헐값 불붙은 삼성폰 ‘유혹’
- "결제 잘안돼" 고객 34명 신용카드 복제해 쓴 배달기사 검거
- 새벽 길거리 바지 밑으로 '툭'…대변 흘리고 사라진 남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