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개발 6개월 중단하라” VS “과도한 우려”... 쪼개진 실리콘밸리
오픈AI의 인공지능 챗봇인 챗GPT가 등장한 후 인공지능(AI)의 위험성이 제기되면서, AI 개발을 놓고 미 실리콘밸리 테크 업계가 쪼개졌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애플 공동창업자 스티브 워즈니악, 세계적 AI 구루 요수아 벤지오 교수, 베스트셀러 작가 유발 하라리 등 AI 석학 1000여명이 최첨단 AI 시스템 개발을 6개월 일시 중단하고 그 사이 안전 프로토콜을 만들자고 촉구한 가운데, 이러한 조치가 별 효과가 없고 부작용이 더 클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양 측은 AI가 최근 급속도로 발전했고, 향후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는 AI가 등장할 수 있다는 점에는 공감대를 이룬다. 하지만 현재의 AI가 실제 인류를 위협할 것인지, 기술 개발을 중단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가능한 것인지를 두고 입장이 갈리고 있다.
◇“지금 당장 중단” VS “과도한 우려”
머스크, 워즈니악 등은 오픈AI의 최신 AI 모델인 GPT-4를 넘어서는 최첨단 AI의 개발을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강력한 AI 시스템은 그 효과가 긍정적이고 위험을 관리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을 때만 개발해야 한다”고 했다. 현재 빠른 속도로 개선되는 AI를 어떻게 통제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론이 없기 때문에 우선 개발을 중단하고 안전망부터 만들자는 것이다.
반면 지속 개발을 주장하는 측은 우려가 과도하다는 입장이다. 지난 7일(현지시각) AI 석학 ‘4대 천왕’ 중 2명인 앤드류 응 스탠퍼드대 교수와 얀 르쿤 뉴욕대 교수는 ‘왜 6개월 중지는 나쁜 아이디어인가’라는 제목의 온라인 컨퍼런스를 열었다. 두 교수는 AI의 위험성이 있지만, AI 개발을 중단하는 것은 오히려 컨트롤이 가능하고 안전한 AI를 개발하는 시간을 빼앗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일시 중단하고 안전망을 만들기보다는 지속 개발을 추구하면서 이에 맞는 규제책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르쿤 교수는 “수십 년 안에 인간의 지능과 동등하거나 능가하는 AI를 갖게 될 것이라고 의심하지 않지만, 당장 이런 일이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라며 “자동차가 발명되지 않았다면 안전벨트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몰랐을 것이고, 비행기가 없었다면 안전한 제트 엔진을 어떻게 만들지 알지 못했을 것이다. 현재의 우려는 시기상조이며, 미래에 대한 일종의 공황상태라고 본다”고 했다.
앤드류 응 교수도 “딥러닝이 처음 등장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비현실적인 기대감을 가졌고, AI 종말론이 등장했다”며 “하지만 실제로 딥러닝을 들여다보면 과대포장된 점이 적지 않다”고 했다. 그는 “지난 1년간 AI는 엄청난 진전을 이뤘지만 30~50년 간 더 진전을 이뤄야 한다”며 “50년이라는 긴 여정에서 49년 반쯤에 안전 규제를 위해 잠시 멈춰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왜 지금 멈춰야 하는지는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기술 자체 규제” VS “AI 활용 제품 규제”
머스크 등은 AI 기술 개발을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의 AI 개발 속도가 너무 빨라 규제 시기를 놓치면 추후 겉잡을 수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들은 “이러한 중단을 신속하게 시행할 수 없다면 정부가 개입해 유예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했다.
반면 개발 중지를 반대하는 측은 AI 연구 개발은 계속 진행하고, 대신 시중에 공개되는 AI 서비스와 제품을 규제하자고 주장한다. 이들은 AI를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보지 말고,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는 “AI에는 엄청난 이점이 있다는 것이 확실한 만큼 우리가 해야 할 일은 AI의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라고 했다. 얀 르쿤 교수는 “AI는 인간 지능의 증폭제가 될 것”이라며 “AI는 문제가 아니라 해결책의 일부”라고 했다.
◇“전면 규제” VS “중국에 유리”
AI 기술 개발 일시 중지가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한 입장도 갈린다. 머스크 등은 현재 AI 기술 주도권을 가진 미국이 나서서 글로벌 안전망 구축과 기술 개발 로드맵을 만들어야 한다고 본다. 반면 반대 측은 “개발 유예 조치가 미국의 영향력이 닿지 않는 국가에 기회를 내줄 것”이란 입장이다.
에릭 슈미트 전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호주 파이낸셜리뷰와의 인터뷰에서 “개발 유예는 중국에 이익이 될 것이기 때문에 찬성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AI를 감시 시스템에 활용하는 등 AI에 중국의 가치를 반영하려고 할 것”이라며 “우리 가치를 반영한 믿을만한 AI 플랫폼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일단 미 정치권에서는 AI를 규제 대상 후보로 놓고 상황을 파악 중이다. 미 의원들은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SNS)를 제대로 규제하지 못해 가짜뉴스 등 여러 부작용이 나온 경험을 곱씹고 있다. 하지만 AI가 모든 산업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상황에서 어느 수준까지 AI를 규제해야 할지 감을 못잡는 상황이다. 일단 미 행정부는 AI가 일으키는 문제의 책임을 AI 서비스를 출시하는 기업들에게 묻겠다는 방침이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지난 4일 백악관에서 과학기술자문위원회를 열고, “AI는 질병과 기후 변화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잠재적 위협 문제도 해소해야 한다”며 “테크 기업들은 대중에 제품을 공개하기 전 제품이 안전한지 확인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 최측근 머스크, 주초 주유엔 이란 대사 만나
- [Minute to Read] S. Korean markets slide deeper as ‘Trump panic’ grows
- [더 한장] 새총 쏘고 중성화 수술까지...원숭이와 전쟁의 승자는?
- 먹다 남은 과자봉지, 플라스틱 물병 한가득…쓰레기장 된 한라산 정상
- 트럼프, 보건복지부 장관에 ‘백신 음모론자’ 케네디 주니어 지명
- 파월 “금리 인하 서둘러야 할 신호 없어”
- Netflix Series Zombieverse: New Blood Coins ‘Vari-Drama’ Genre, Mixing Humor, High Stakes, and Zombie Action
- 결국 4만전자 전락한 삼전, 용산은 2년 전부터 알고 있었다
- 10만~20만원대로 실현한 문페이즈 드레스워치
- 연일 완판 행진 카이스트 탈모 샴푸, 단독 구성 특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