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늘린 '슈퍼 리치'…평균자산은 50억 줄어 323억

이소현 2023. 4. 9. 18: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초고액 자산가(슈퍼 리치)의 평균 총자산은 323억원에 달하고 금융자산의 60%를 현금 및 예금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9일 내놓은 '2023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금융자산 100억원 이상 또는 총자산 300억원 이상을 보유한 슈퍼 리치의 1인당 평균 총자산은 323억원으로 집계됐다.

금융자산을 10억원 이상 보유한 자산가 중 64%는 올해 목표 수익률을 5~10% 수준으로 잡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나금융 '웰스리포트' 발표
금융 100억 포함 300억 보유한
초고액 자산가…현금비중 58%
45% 차지했던 주식, 16%로 '뚝'
유망 투자처는 주식·부동산 順
2명 중 1명은 "미술품 더 살 것"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초고액 자산가(슈퍼 리치)의 평균 총자산은 323억원에 달하고 금융자산의 60%를 현금 및 예금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지난 1년간 현금·예금 등 안전자산 비중을 늘리고 위험자산 비중은 줄였다. 올해 유망 투자처로는 주식과 부동산을 꼽았다.

 부동산 불황에 총자산 감소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9일 내놓은 ‘2023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금융자산 100억원 이상 또는 총자산 300억원 이상을 보유한 슈퍼 리치의 1인당 평균 총자산은 323억원으로 집계됐다. 2021년보다 50억원(13.4%) 줄었다.


총자산 중 금융자산이 1년 새 150억원에서 161억원으로 늘었다. 부동산 자산은 2021년 206억원에서 작년 156억원으로 감소했다. 금융자산 유형별로는 현금과 예금·입출금통장 등 안전자산 비중이 58%로 최대였다. 지난해 증시가 크게 위축되면서 주식 자산 비중은 16%로 1년 전(45%)보다 급감했다.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보유 비중도 9%로 낮았다.

현금 일부를 외화로 보유한 초고액 자산가도 73%에 달했다. 금융자산 규모가 늘어날수록 외화 자산을 보유한 비중이 높았다. 외화 자산 유형별로는 현금(73%) 예금(57%) 주식(43%) 순으로 매수 선호도가 높았다.

슈퍼 리치의 연평균 소득은 2021년(15억7000만원)보다 3억4000만원 감소한 12억3000만원으로 조사됐다. 이 중 재산소득 비중이 39%로 가장 컸다. 월 소득의 절반은 저축(57%)하고 나머지는 소비(37%)와 대출금 상환(6%)에 사용했다. 직업은 기업 경영자가 29%로 가장 많고 의료·법조계 전문직이 20%로 뒤를 이었다. 슈퍼 리치가 가장 많이 사는 곳은 서울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순이었다.

성격유형 검사인 MBTI로 특징을 분석한 결과 슈퍼 리치 중에는 ‘ESTJ’(외향형·감각형·이성적·계획적)가 가장 많았다. 일반 대중 사이에서 ESTJ 비율은 8.5%로 알려졌지만, 슈퍼 리치 중에선 이의 세 배가 넘는 26.8%가 ESTJ형이었다.

 유력 투자처 ‘주식·부동산’

보고서에 따르면 초고액 자산가의 70%는 작년 금융자산 투자를 통해 ‘플러스’ 수익률을 냈다. 일반 부자(66%)와 대중 부유층(금융자산 1억원 이상 10억원 미만·57%)보다 높다. 10% 이상의 수익률을 올린 슈퍼 리치도 15%에 달했다. 수익률을 끌어올린 자산은 예금(34%) 채권(20%) 펀드·신탁(17%) 순이었다. 반면 주식(51%) 펀드·신탁(22%) 가상자산·채권(7%) 순으로 투자 손실이 컸다.

80%가 넘는 초고액 자산가들은 올해 경기가 작년보다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다. 앞으로 투자 의향이 높은 자산으로는 주식(29%)과 부동산(27%)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미술품 투자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슈퍼 리치의 41%가 1억원 이상의 미술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 두 명 중 한 명은 “투자 목적으로 미술품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금융자산을 10억원 이상 보유한 자산가 중 64%는 올해 목표 수익률을 5~10% 수준으로 잡았다. 10%가 넘는 목표 수익률을 정한 자산가 비율은 20%로 1년 전보다 11% 하락했다. 응답자 절반은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을 바꿀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포트폴리오를 바꾸겠다고 응답한 자산가 중 ‘부동산 비중을 줄이고 금융자산을 늘리겠다’고 답한 비중이 21%로 가장 높았다. 이어 ‘투자 비중은 유지하고 투자 항목만 바꾸겠다’(19%)순이었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