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임신 중지 위해 건강보험 적용하라" 여성인권단체 촉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성·인권단체 연대체인 '모두의 안전한 임신 중지를 위한 권리보장 네트워크'(네트워크)는 오늘(9일) 오후 서울 용산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임신 중지를 건강권으로 보장하라"며 이렇게 요구했습니다.
네트워크는 형법상 낙태죄 처벌 규정(자기낙태죄·동의낙태죄 조항)의 효력이 없어진 지 2년이 지났으나 여전히 임신 중지를 위한 법·제도가 마련되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성의 안전한 임신 중지를 위해 관련 의료행위에 건강보험을 적용해달라고 여성인권단체들이 촉구했습니다.
여성·인권단체 연대체인 '모두의 안전한 임신 중지를 위한 권리보장 네트워크'(네트워크)는 오늘(9일) 오후 서울 용산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임신 중지를 건강권으로 보장하라"며 이렇게 요구했습니다.
네트워크는 형법상 낙태죄 처벌 규정(자기낙태죄·동의낙태죄 조항)의 효력이 없어진 지 2년이 지났으나 여전히 임신 중지를 위한 법·제도가 마련되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
헌법재판소는 2019년 4월 임신 초기의 낙태까지 전면 금지하고 위반 시 처벌하도록 한 법 조항은 임산부의 자기 결정권을 과도하게 침해했다며 헌법 불합치 결정을 하고 2020년 12월 31일까지 법을 개정하라고 국회에 주문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대체 입법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네트워크는 "임신 중지가 비범죄화한 지 2년이 지났지만, 정부와 국회의 방치 속에 여전히 많은 여성이 높은 임신 중지 의료비용을 부담하고 있고, 임신 중지 관련 상담과 공식 정보도 찾기 힘든 상황"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네트워크는 낙태 시술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외에 유산유도제 도입도 촉구했습니다.
2021년 7월 한 제약사는 경구용 임신 중지 의약품, 일명 '미프진'의 국내 도입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품목 허가를 신청했으나 식약처가 보완 자료를 요구하며 승인을 내주지 않았습니다.
이 제약사가 지난해 연말 신청을 자진 철회하면서 유산유도제 도입은 무산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심영구 기자so5what@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직장에서 괴롭힘 당한 적 있다” 30% 답해…대부분 참거나 모르는 척
- 디지털 유목민들이 선정한 세계 최고 도시는 '부에노스아이레스'
- 이승기♥이다인, 3년 열애 끝 결혼…화려한 티아라 알고 보니
- '우리 같이 살자'…물에 빠진 표범과 개, 서로 의지하다 극적 구조
- 음주단속 또 걸리자 '지인 행세'한 70대, 6개월 실형 선고받아
- 수백 마리 벌떼 데리고 다니는 중국 운전자
- “치매앓던 어머니 떠난 지 8개월 만에”…정은표, 가슴아픈 부친상
- '급출발·급정거·욕설' 민원 속출 버스기사…법원 “징계 정당”
- 손흥민, 아시아 최초 EPL 100호 골 금자탑
- 3개월 영아 침대서 고독사…그날 브라질 母는 춤추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