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히 친목하기를 바랍니다"…외교 일기 '미사일록' 복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19세기 말 한미외교사를 엿볼 수 있는 기록물이 복원됐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주미공사의 일기 '미사일록'(美槎日錄)과 일본 조선통신사 관련 기록물인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를 복원하는 데 성공하고 소장처인 단국대학교에 전달한다고 9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국가기록원, 120년 전 이범진 기록 복원
조선통신사 기록물 '일동장유가'도 복원
[서울=뉴시스]오제일 기자 = '처음 조약을 맺을 때처럼 한결같이 영구히 친목하기를 바랍니다.'(1896년10월14일 미국 클리브랜드 대통령 답사 중)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19세기 말 한미외교사를 엿볼 수 있는 기록물이 복원됐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주미공사의 일기 '미사일록'(美槎日錄)과 일본 조선통신사 관련 기록물인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를 복원하는 데 성공하고 소장처인 단국대학교에 전달한다고 9일 밝혔다.
미사일록은 이범진(1852∼1911) 제9대 주미공사가 1896년 6월20일부터 1897년 1월31일까지의 주미 외교활동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것을, 당시 이건호 주미공사관 서기관이 옮겨적은 것이다.
본문에는 이범진 주미공사가 고종의 위임장, 국서(國書), 국기(國旗)를 받고 수도 워싱턴에 도착해 5차례 미 대통령을 접견하고 미국 정치인과 활발한 외교활동을 펼친 내용 등이 담겼다.
일본과의 친선 외교 관계를 보여주는 '일동장유가'는 퇴석 김인겸(1707~1772)이 계미통신사의 일원으로 1763년 8월3일부터 1764년 7월8일까지 일본에 다녀와 견문한 바를 기록한 장편의 국문가사다.
복원 전 '미사일록'과 '일동장유가'는 글자 번짐과 곰팡이 침식 등으로 내용을 판독할 수 없어 복원이 시급했다. 국가기록원은 1년에 걸쳐 기록물 표면과 내부에 침투한 곰팡이 등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결실부를 보강해 복원·복제 지원 서비스를 진행했다.
복원이 완료된 '미사일록'은 경기도 국가등록문화재 심의를 마치고 문화재청 심의를 앞두고 있다. '일동장유가'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지정예고 후 5월 지정 공표 예정이다.
한창섭 행안부 차관은 오는 10일 오후 열리는 전달식에서 복원물을 김수복 단국대 총장에게 전달한다.
김 총장은 "우리 대학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미사일록'과 '일동장유가'를 더욱 안전하게 관리하고 보존할 수 있도록 복원해 주신 행안부 국가기록원에 감사드린다"며 "복원한 기록물들은 전시 등을 통해 많은 국민이 관람하고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 차관은 "이번 복원을 통해 우리나라 외교사와 국문학 연구에 기여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국가적으로 소중한 기록유산들이 훼손되지 않고 안전하게 영구히 보존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afka@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 아역 출신 女배우, 임신 중 숨져…"고통 극복 위해 약 복용"
- 쯔양, 코 세우고 확 바뀐 얼굴 "다른 사람 같지 않냐"
- 이영애 "70대 남편과 매일 키스…어제도 했다"
- '사업가♥' 남보라, 5월 결혼 앞두고 경사 "결국 해냈다"
- '尹호위무사' 박종준 전 경호처장 재산 40억…부산국세청장 120억
- 스님된 김희라, 외도·사업실패 "속죄하려 출가"
- 고준희, 2세 욕심 난자냉동 "애 먼저 가져도 되냐"
- 지연, 황재균과 이혼 후 근황 공개…물오른 미모
- 54세 고현정, 뉴욕서 여대생 미모…놀라운 다리 길이
- 하원미 "100억 들여 지은 美 5500평 저택 시세 두 배 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