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정책에 젠더 감수성부터 공급하라 [The 5]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가 시간이 없지 관심이 없냐!' 현생에 치여 바쁜, 뉴스 볼 시간도 없는 당신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지난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3차와 4차 저출생 기본계획에선 "성평등 구현" "성평등하고 공정한 사회"란 정책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는 발언 등에서 예견되었던 일이지만, 저출생 문제에도 이러는 건 아쉽습니다.
정부의 주 최대 69시간 근무제 개편안이 나왔을 때, 저출생을 더 부추긴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시간이 없지 관심이 없냐!’ 현생에 치여 바쁜, 뉴스 볼 시간도 없는 당신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뉴스가 알려주지 않은 뉴스, 보면 볼수록 궁금한 뉴스를 5개 질문에 담았습니다. The 5가 묻고 기자가 답합니다. ▶▶주간 뉴스레터 휘클리 구독신청 검색창에 ‘휘클리’를 쳐보세요.
지난 3월28일 정부가 ‘저출산·고령사회 정책 과제 및 추진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육아기엔 근로시간을 줄여서 일할 수 있는 제도와 아이돌보미 서비스 등 여러 대책을 내놨는데요. 하지만 이 정도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인 합계출산율 0.78을 반전시키기 어렵단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뭐가 문제인 걸까요? 오세진 젠더팀 기자에게 물어봤습니다.
[The 1] 이번 정부의 저출생 대책 어떤 점이 문제였나요?
오세진 기자: 이번 대책에서 성평등, 성차별이란 단어가 전혀 등장하질 않은 게 실망스러웠습니다. 지난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3차와 4차 저출생 기본계획에선 “성평등 구현” “성평등하고 공정한 사회”란 정책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2020년 4차 발표 때 부모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각각 3개월간 육아휴직 급여 월 200~300만원을 지원하겠다는 등 구체적인 대책도 내놨었고요. 윤석열 대통령의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는 발언 등에서 예견되었던 일이지만, 저출생 문제에도 이러는 건 아쉽습니다.
[The 2] 성차별적 상황에 대한 고려가 없었으면, 세부 대책도 문제가 있을 거 같은데요.
오세진 기자: ‘육아기 재택근무 활성화’ 대책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여성들에게 자녀 돌봄 부담을 지우는 현실은 그대로잖아요. 여기서 재택근무를 활성화하면 결국 여성들이 더 많이 재택근무를 하게 되겠죠. 그런 현실을 고려해서 남성도 육아기에 재택근무를 많이 하도록 균형을 맞출 보완책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건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The 3] 정부의 주 최대 69시간 근무제 개편안이 나왔을 때, 저출생을 더 부추긴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왜인가요?
오세진 기자: 여성 노동자들은 대체로 남성보다 임금이 낮고 불안정한 일자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여성이 주양육자여야 한다는 인식이 여전한 상황에서 노동시간이 늘면 어떻게 될까요. 여성들이 아이 돌봄 때문에 일을 중단하게 될 가능성이 커지는 겁니다. 여성들도 일하면서 경력을 발전시키고 싶은 욕구가 있습니다. 그런데 자녀가 생기면 일을 그만 두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니, 아예 처음부터 결혼·출산을 선택하지 않는 거죠.
[The 4] 그렇다면 어떤 대책이 들어갔어야 할까요?
오세진 기자: 제가 인터뷰했던 신경아 한림대 교수가 이런 말을 했습니다. “노동시장에서 성별 임금 격차, 여성의 경력단절 등을 줄일 방안이 가장 필요하다”고요. 육아휴직을 하려고 하더라도, 엄마와 아빠 중 누가 더 할까요? 평균적으로 벌이가 더 적은 엄마가 하게 되죠. 궁극적으로 ‘남편은 생계, 아내는 육아’란 이데올로기를 무너뜨릴 수 있는 파괴력 있는 대책을 내놔야죠. 설령 반대가 있다고 하더라도요.
[The 5] 반대로, ‘저출생이 왜 문제냐. 아이 낳을 생각 없으니 자꾸 대책이니 뭐니 하면서 괴롭히지 말라’고 하는 사람도 있을 것 같습니다.
오세진 기자: 국가의 존속을 위해서 낳으라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개개인들도 저출생이 지속되는 상황에선 고통이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고령 인구를 부양하는 국민연금, 건강보홈은 결국 젊은 세대가 부담하는 거잖아요. 국민연금이 현 제도대로 2078년까지 유지되면 올해 월 소득의 6%던 보험료율이 35%는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러면 점점 세대 갈등이 심해질 수밖에 없죠. 출산은 개인의 선택으로 존중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아이를 낳을 생각은 있는 사람들에게 그럴 수 있는 환경을 제대로 만들어주기만 해도 출산율은 변하기 시작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The 5]에 다 담지 못한 정부 저출생 대책의 주요 내용과 각각의 한계, 출산율 전망 등을 휘클리에서 모두 읽어보세요. ▶▶주간 뉴스레터 휘클리 구독신청
김지훈 기자 watchdog@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인터넷 도박까지 손댄 10대 아들, 어떡하죠? [ESC]
- [속보] 경찰, ‘마약 음료’ 제조범 등 2명 검거
- ‘강남 납치살인’ 배후 재력가 부부 신병확보…살인교사 혐의
- 대전서 만취 60대, ‘어린이 보호구역’ 인도 덮쳐 어린이 위독
- 강원 춘천 내일 아침 0도…내륙 서리·얼음
- ‘엠폭스’ 첫 지역 감염 방역 당국 비상…국외 여행 이력없어
- ‘임영웅 효과’…프로축구 K리그에 45007명
- “채소? 하나도 안 써”…아이에게 새빨간 거짓인 이유
- 한국타이어 협력업체 노동자 260여명에 사직 통보
- 댄스 본능 케이팝…‘강력한 쇼트폼’ 날개를 달다 [E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