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하던 남북한 ‘정기 통화’ 모두 불통…기술적 이유? 불만 표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7일 북한의 무응답 탓에 남북공동연락사무소와 동·서해 군 통신선의 정기 통화가 이뤄지지 않았다.
2021년에는 8월10일 한-미가 연합훈련을 시작하면서 북한이 연락을 거부하다가 그해 10월4일 다시 통화에 응했다.
그러나 연락사무소와 군 통신선 통화가 모두 이뤄지지 않은 만큼 북한이 의도적으로 응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전날 통일부는 남북연락사무소 통화로 개성공단 내 남쪽 시설 무단 사용을 중단하라는 내용의 통지를 하려 했으나 북한은 응답없이 전화를 끊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일 북한의 무응답 탓에 남북공동연락사무소와 동·서해 군 통신선의 정기 통화가 이뤄지지 않았다. 북한이 어떤 이유로 연락에 응하지 않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최근 정부가 북한인권보고서를 발간하며 압박 수위를 높인 것에 북한이 반발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
통일부는 이날 “오늘 오전 9시 연락사무소 업무개시 통화에 이어, 오후 5시 마감통화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공지했다. 이날 동·서해 군 통신선도 오전 9시 개시 통화와 오후 마감 통화가 모두 이뤄지지 않았다고 군 관계자는 전했다.
남북은 평시 공동연락사무소 채널을 통해 주말을 제외한 매일 오전 9시 개시통화와 오후 5시 마감통화를 한다. 군 당국도 같은 시각에 북한과 통화를 진행한다.
남북 간 연락채널은 그간 기술적, 정치적 이유로 몇 차례 중단됐다. 지난해 10월4일에는 북한의 기술 문제 탓에 개시 통화가 이뤄지지 않았는데 마감 통화는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2021년에는 8월10일 한-미가 연합훈련을 시작하면서 북한이 연락을 거부하다가 그해 10월4일 다시 통화에 응했다.
이번 연락 두절도 북한 쪽의 기술적 문제에서 비롯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날 <조선중앙방송> 보도를 보면 북한 일부 지역에는 비가 내리고 센바람주의경보가 내려졌다. 그러나 연락사무소와 군 통신선 통화가 모두 이뤄지지 않은 만큼 북한이 의도적으로 응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전날 통일부는 남북연락사무소 통화로 개성공단 내 남쪽 시설 무단 사용을 중단하라는 내용의 통지를 하려 했으나 북한은 응답없이 전화를 끊었다. 통일부는 지난달 30일 2017∼2022년 탈북한 탈북민 508명의 증언을 바탕으로 작성한 ‘2023 북한인권보고서’를 처음 공개했다.
양무진 북학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개성공단 시설 사용을 중단하라는 통일부 요구에 대한 항의 차원이고, 더 큰 틀로 보면 한·미 군사훈련에 대한 불만 표시로 보인다”며 “북한이 공식적으로 담화를 내지 않았기 때문에 조금 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신형철 기자 newiro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윤 대통령 ‘부산 횟집 뒤풀이’ 포착…한동훈·장제원도 함께
- 강남 학교들 ‘마약음료’ 전수조사중…“시음 강요받아” 증언 속속
- 전두환에 55억 추가 추징 가능해졌다…신탁사 불복 소송 패소
- 권경애, ‘9천만원 갚겠다’ 한 줄 각서…“유족에 드릴 말씀 없다”
- 정자교와 같은 지지대 없는 보행로, 분당 탄천에만 16개 있다
- ‘친윤·TK’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용산 그림자 벗어날까
- 전날 이태원 참사 조사받은 김광호 서울청장 “마약 철저 수사”
- 대통령님, 통일부와 통일전선부의 ‘통일’은 뜻이 달라요
- “우승 못해서”…망설이는 김연경, 흥국 유니폼 또 입을까
- [단독] ‘빗썸 상장 뒷돈 배달사고’ 의혹 프로골퍼 안성현 영장 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