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랭킹쇼] ‘천원 학식‘ 만족도 높아 “점심·저녁은 안되나요?”
정부가 ‘MZ세대’를 겨냥한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지난달 28일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모든 정책을 MZ세대, 청년의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청년 입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레이더P는 최근 화제가 된 천원 학식과 근로시간 개편안에 대해 청년들의 생각은 어떤지 대학가를 방문해 들어봤다.
지난 3일 오전 7시 50분 경희대 푸른솔문화회관 주문 키오스크 앞이 ‘천원의 아침밥’을 먹으러 온 학생들로 북적이기 시작했다. ‘천원의 아침밥’ 정책은 쌀 소비량 증가와 대학생 아침 결식 해결을 목적으로 농림축산식품부와 대학이 지원하는 사업이다. 현재 전국 41개 대학이 사업을 시행 중이다. 학생이 한 끼에 1000원을 내면 정부가 1000원을 지원하고 나머지는 대학이 부담한다.
앞에서 세 번째로 줄을 선 로스쿨 1학년 김 모씨는 “천원 학식을 제공하는 자체만으로 만족스럽지만, 일반 학식이 가격이 비싼 대신 확실히 맛이나 영양상으로 좋다”고 설명했다. 제공 수량이 충분하다고 느끼는지에 대해 철학과 4학년 유 모씨는 “8시 반까지도 잔여 수량이 남아있는 날도 있고 매진되는 날도 있다”며 “국가사업인데 안 먹고 남으면 또 문제니까 지금 제공 수량이 딱 적정선인 것 같다”고 말했다.
경희대의 경우 주문 시작 시각인 오전 8시에서 40분이 지난 후에도 잔여 수량 5개가 남아있었다. 아침밥보다 점심, 저녁밥을 지원해줬으면 좋겠다는 대학생들의 의견도 있었다.
민주당 의원들이 지난 5일 천원 학식을 시행 중인 서울대를 방문해 전국으로 제도를 확대 적용하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김민석 정책위의장은 “서울대는 아침, 점심, 저녁을 모두 제공하는 모범 케이스라 현장을 살펴보고 이야기를 들으러 왔다”고 말했다.
천원 학식 제도 미운영 대학 학생들에게서는 부러움의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외대 1학년 유 모씨는 “경희대 천원 학식 도입되고 나서 친구들끼리 ‘왜 우린 (도입) 안 하냐’고 얘기한 적 있다”며 “1교시 수업 듣는 학생들에게 특히 도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국민대 4학년 유 모씨는 “(특정 대학은) 졸업생들의 기부금으로 운영된다고 알고 있는데 결국 천원 학식이 운영될 수 있을 정도로 기부금과 졸업생이 나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천원 학식 미운영 대학은) 도입이 안 되는 것인지 못 되는 것인지를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2. “주52시간제 굳이 개편할 이유 있나”
주 최대 69시간까지 근로가 가능한 근로시간 개편안에 대해 대학생들은 우려를 나타냈다. 근로시간 개편안은 현행 주 52시간 근로제를 월, 분기, 년 등으로 단위를 유연화해 최대 주 69시간까지 근로가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국민대 4학년 이 모씨는 “굳이 (현행) 주 52시간제를 개편하면서까지 시행할 필요성이 있는지 잘 모르겠다”며 “과로의 가능성이 있다”고 비판했다.
개편안에 대한 정부 홍보 문제도 지적됐다. 국민대 4학년 강 모씨는 유튜브 채널 ‘너덜트’의 ‘주 69시간제’ 영상에 대해 언급하며 “(정부가) 그런 의도가 아니라고 말해도 우리가 느끼고 있는 건 영상 그 자체”라고 말했다. 또한 “(정부가 도입 이후) 민심들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의 “요새 MZ 세대는 ‘부회장 나와라’, ‘회장 나와라’ 할 정도로 권리의식이 굉장히 뛰어나다”는 발언에 대해서 동의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경희대 3학년 염 모씨는 “솔직히 나는 교수님들한테만 해도 이렇게 못 한다”며 “유튜브나 개그 프로그램에서 (MZ를) 과장되게 희화화하는 것을 그 자체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지 않나”라고 말했다.
정부의 MZ 단어 사용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청년에게 관심이 많다는 것에서 긍정적’이라고 찬성한 입장이 있지만, ‘MZ세대를 너무 일반화하는 것 같다’, ‘20년의 세대를 어떻게 아우를 수 있는지 의문’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3. “교통카드 정기권 서울시내만 한정 아쉬워”
청년들이 요즘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는 정책이 무엇인지도 들어봤다. 서울대 4학년 김 모씨는 “월세가 제일 큰 부담”이라며 “서울대 주변은 서울에서 (월세가) 제일 싼 축인데도 코로나 끝나고 원래 살던 곳도 5만 원, 10만 원씩 올랐다”고 말했다. 자취 이외 다른 대안은 없는지에 대해서는 “기숙사 들어가기도 쉽지 않다”며 “학교가 기숙사 늘린다고 하면 주변 원룸들에서 반발이 심하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청년 지원 정책의 한계와 보완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외대 4학년 김 모씨는 “최근 서울시에서 도입한 교통카드 정기권 사업은 서울 시내에 한정되는 정책이라 장거리 통학하는 수도권 학생들은 혜택을 보지 못한다”며 “교통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희대 3학년 염 모씨도 “뭔가를 배울 때 내일배움카드를 쓰긴 하지만 조건이 너무 까다롭고 지원받아도 비용이 만만치 않다”며 “요즘 다양한 스펙과 능력을 요구하는 시대인데 직접 배워보기 전까지는 적성을 알기 어려운 만큼 현금성 지원보다는 학원비 같은 것을 많이 지원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청년 의견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의견이 엇갈렸다. 서울대 4학년 김 모씨는 ‘정책 콘테스트 등 창구가 늘어난 것 같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정부의 소통 플랫폼 확대와 이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존재했다. 강 모씨(국민대, 4학년)는 “(정부 소통 플랫폼을) 청년들에게 더 홍보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김윤하·이민형 인턴기자/이상훈 정치전문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임신중 갑자기 들이닥친 시어머니”…양손 물건 보고 며느리 ‘그만’ - 매일경제
- “마을 남자들이 나를”…50만 구독자 ‘시골살이’ 일본女 충격고백 - 매일경제
- “이 고춧가루 샀다면 당장 반품하세요”…식약처 당부한 이유는? - 매일경제
- 백수 처남에 몰래 월 50만원 준 아내…따졌더니 도리어 ‘버럭’ - 매일경제
- 충격적인 어닝 쇼크에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가 급등 왜? - 매일경제
- “자고 일어나니 1억 뛰었다”...미분양 아파트값도 끌어올린 ‘반세권’ - 매일경제
- 한번에 44억 ‘껑충’…시장 침체에도 70억에 팔린 이 아파트 - 매일경제
- “아직 갈 길 남아있어”…2차전지株 매수 멈추지 않는 초고수 - 매일경제
- “1300원 그냥 안 벌고 말지”...외면받는 초단기 적금 - 매일경제
- 유럽클럽랭킹 1위 한국인 입단, 김민재가 이룰까?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