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스, 아껴써도 요금 20% 이상 올라.. “이러다 장사 접어야”,현실화? 과연
가스·전기 사용 줄었는데 1,2월 요금 20%↑
가격 인상·단축 영업 대응.. “휴·폐업 고려”
한전 등, 적자·미수금.. ‘요금 현실화’ 내세워
“경영 책임 전가” 지적.. 지원 대책 서둘러야
“난방시간이며, 주방 가스 사용을 줄였는데도 통하질 않네요. 앞뒤로 1,2시간 정도 영업시간을 줄였는데 소용이 없어요. 안그래도 치솟는 물가로 각종 재료비도 올라 음식값 조정이 불가피한 참이라 조금 가격을 올렸을까요. 아니나 다를까, 찾는 손님이 눈에 띄게 줄었네요”
시내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김 모 씨.
유난히 한숨이 깊어진 요즘입니다.
코로나19를 지나, 나아지나 했던게 공공요금에 발목을 잡혔습니다.
1, 2월 각종 요금들을 정산하면서 아연실색했습니다.
줄이고 줄였지만 나가는 돈은 더 늘어, 가게 유지가 쉽지 않으리란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평소 30만 원이면 충분했던 가스비는 2배 수준 뛰었고, 전기료 역시 마찬가지 올라 감히 고지서를 쳐다보지 못할 정도가 되어버렸습니다.
“매출이라도 좋으면 모르겠지만, 손님도 늘지 않아 걱정이에요. 계속 가스다 전기료만 오르다간 유지비 내기도 어려워질듯해, 장사를 어떻게 하나 고민 중이에요”
이런 걱정이 김 씨에게만 그치는 일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기와 가스 등 ‘연료물가 폭탄’이 가계 재정만 아니라,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생계를 압박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줄이고 아껴 썼는데도, 요금 부담이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물가다 고금리, 고환율 등 ‘3고’로 위축된 소비심리에 에너지 비용까지 더해져 경영 부담으로 이어졌습니다.
견디다 못해 메뉴 가격을 올리거나 영업시간을 단축하는 등 자구책을 동원하지만, 재차 경영난을 가중시키는 악순환이 거듭될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도시가스와 전기 수급·공급을 담당하는 한국가스공사, 전력공사는 미수금에 적자를 이유로 ‘요금 현실화’를 내세우지만, 이는 방만 경영의 책임을 외식업계 등 소상공인에 전가하는 행태라는 지적입니다.
각종 에너지요금 인상으로 가뜩이나 없는 서민들과 업계는 허리가 휠 지경인데, 한전 등은 되레 억대 연봉자가 늘고 고액 성과급을 지급하는가 하면 산업용 가스요금은 하락 양상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 가스·전기 각각 14.9%, 4.8% 사용량↓.. 요금 25.1%, 21.1%↑
오늘(7일)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이 지난달 5∼8일 서울부터 제주까지 전국 외식업체 201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2월 업체당 월 평균 가스요금이 전년 같은 기간(54만9,000원) 대비 25.1% 늘어난 68만7,000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같은 기간 전기요금은 66만5,000원 쓰던게 80만5,000원으로 21.1% 늘었습니다.
그렇다고 가스나 전기를 많이 쓴 것도 아닙니다.
조사기간 업체당 가스 평균 사용량이 4만8,067MJ(메가줄)에서 4만897MJ, 전기는 7,689㎾h(킬로와트시)에서 7,324㎾h로 각각 14.9%, 4.8%씩 줄었습니다.
사용량은 감소했는데 요금이 25.1%, 21.1%씩 급증했습니다.
가스요금이 변화됐는지란 물음에 응답업체 91%가 ‘증가했다’고 답했고, ‘변화 없음’은 7%, ‘감소함’은 2% 수준에 그쳤습니다.
전기요금 역시 변화를 묻는 질문에 ‘증가했다’는 업체가 96%, ‘변화 없음’(3%), ‘감소함’(1%)로 미미한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 3곳 중 1곳 ‘메뉴 가격 인상’.. ‘영업시간 단축’, ‘휴·폐업’도 고려
이같은 요금 상승에 대한 대처는 극과 극으로 나뉘는 양상입니다.
에너지 요금 상승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업체 33.2%가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가격 인상’(28.1%), ‘단축 영업’(22.7%)으로 대응한다고 답했고 ‘복합 대처’(9%) 등을 통해 위기에 대응한다고 응답도 나왔습니다.
아예 ‘휴·폐업을 고려’(7%) 한다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대처 방안에 대한 응답은 연령대별 차이를 보였습니다.
표본이 적은 20대를 제외하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별 대응을 하지 않는다는 비율이 높고 연령대가 높을 수록 영업일이나 영업시간을 단축했다는 답이 많았습니다.
사업장 고용원이 적을 수록 영업일이나 영업시간을 단축했다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가격 인상이나 단축 영업 모두 사실상 ‘제살깎이’인 셈이라, 적극적인 대응이 가져올 부작용은 고스란히 업체가 감수해야할 실정입니다.
한 음식업계 관계자는 “가뜩이나 소비가 위축된 상황인데, 원자재가격 등 각종 물가 상승세 속에 음식값까지 올린다면 그 부담은 누가 지겠는가”라면서 “장사가 잘된다면 모르지만, 영업시간까지 줄였다가 더 어려워질 경우엔 결국 장사를 접는 상황까지 고려해야할 판”이라고 어려운 현실을 토로했습니다.
■ 한시적 지원책 한계.. “앞으로 부담 가중, 근본적 대책 시급”
특히 에너지 빈곤층 가구를 위한 지원대책은 마련돼 있는 반면, 영세 외식업체 등은 배제됐다며 경영 상태가 회복될 때까지 한시적으로라도 이들 영세업체에 대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문했습니다.
연구원 관계자는 “일부라도 지원 대책이 마련된 에너지 빈곤층과 달리 영세 외식업체들은 에너지 요금 상승으로 인해 큰 타격을 받고 있지만 뚜렷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면서 “대외 환경 등이 정상화될 때까지 에너지 바우처 지원, 요금 감면 등을 통해 숨통을 틔우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더구나 다가올 여름철, 냉방기 사용 등이 늘면서 부담이 더 커질 것이라며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연구원 측은 “한국가스공사와 한국전력공사는 억대 연봉자가 증가한 데다 고액 성과급 잔치까지 벌이고 있어 정서에도 역행한다. 산업용 가스요금은 오히려 하락한 상태”라면서 “정부가 가스공사의 10조 원에 달하는 미수금, 한전의 누적 적자 해소를 위해 요금 인상을 발표했지만 이는 어려운 상황에 처한 외식업체들에 더 큰 고통을 줄게 자명하다. 이를 해결할 정부의 지혜로운 지원방안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주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