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IMF, 韓에 ‘균형 재정’?…평가 뜯어보니
[검증 대상]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발언 “IMF(국제통화기금)가 우리 재정을 균형 재정으로 평가한다” (2023년 3월 14일)
[검증 방법]
- 기타 고피나스 IMF 수석부총재 한국 언론 인터뷰 내용
- 기획재정부 2월 국세수입 현황
- 빅터 가스파르 IMF 재정국장 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 담화 내용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20~2027년)
- 기획재정부 2022~2026년 국가재정운용계획
- IMF 세계 경제 전망 결과
[검증 내용]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14일 국회에서 열린 한 공청회에서 “IMF가 우리 재정을 균형 재정으로 평가한다”며 “국가 신용등급을 위협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공청회는 재정준칙 도입의 필요성을 논의하기 위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가 주최한 행사였다.
재정준칙이란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을 국내총생산(GDP) 대비 3% 이내로 관리하도록 하는 도구로, 윤석열 정부와 여당인 국민의힘이 도입을 추진 중이다. 야당인 민주당은 당장 준칙을 법에 명시해야 할 정도로 재정이 심각하지는 않다며 반대하고 있다. 고 의원의 발언도 이 같은 민주당 입장과 궤를 같이한 것으로 보인다.
공청회가 열리기 전 IMF가 한국 경제 상황에 대해 내놓은 평가를 살펴봤다. 공청회 한 달 반 전인 지난 1월 31일 기타 고피나스 IMF 수석부총재는 한국 언론사들과 한 인터뷰에서 “(한국은) 경제 기초 여건이 탄탄하고 통화·재정 정책도 잘 뒷받침되고 있다”고 했다. 고피나스 부총재는 같은 날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만나서도 “한국이 재정·통화정책 간 일관성을 유지하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고 의원 발언에는 이 같은 평가 이력이 깔려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최근 IMF가 한국 재정을 ‘균형 재정’이라고 평가한 바는 없다. 균형 재정이란 나가는 세금과 걷는 세금의 균형이 맞는 상태를 뜻한다.
고피나스 부총재 인터뷰 이후이자 공청회 약 한 달 전인 2월 16일 IMF가 내놓은 평가도 밝지만은 않았다. 기재부에 따르면 빅터 가스파르 IMF 재정국장은 최상대 기재부 2차관을 만나 “한국은 향후 채무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른 국가 중 하나”라면서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인 재정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고피나스 부총재도 1월 31일 추 부총리에게 “향후 한국 경제의 주된 도전 요인은 중장기적인 인구 구조 변화 대응 등 구조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IMF 고위직이 잇따라 언급한 인구 구조 변화는 저출산·고령화로 해석된다. 저출산·고령화가 지속되면 경제 성장 동력이 줄고, 이는 재정 적자를 키울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문제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성장세 하락이 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 전체 인구 중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2020년 72.1%에서 2050년 51.1%로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았다. OECD는 2045년에는 한국이 세계 1위 고령 국가가 된다고 내다봤다.
정부 재정을 관리할 재정준칙 도입이 늦어지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준칙의 도입 여부가 불투명해질 경우 한국의 대외 신인도가 떨어지고, 이는 국채 금리를 올려 정부가 져야 할 이자 부담을 불어나게 할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신인도 하락은 국가 신용등급을 낮추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가스파르 IMF 국장은 최 차관에게 “재정준칙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국회에서 법제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IMF는 1월 말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2%)보다 낮춰잡은 1.7%로 발표했다.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종전의 2.7%에서 올린 2.9%로 전망한 것과 반대다.
[검증 결과]
대체로 사실 아님. IMF는 한국의 재정 정책이 통화 정책과 박자를 맞추고 있다는 단기적인 점은 높이 평가했으나 최근 한국에 ‘균형 재정’이라는 평가를 내린 바는 없다. 또 중장기적으로는 한국이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경제 성장률 하락 가능성을 고려해 재정준칙 법제화 등으로 재정 건전성을 관리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빠른 나랏빚 증가·고령화 속도, 지지부진한 준칙 법제화까지 감안하면 현재로서는 IMF가 한국을 균형 재정 국가로 볼 확률은 낮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 고춧가루 샀다면 당장 반품하세요”…식약처 당부한 이유는? - 매일경제
- “마을 남자들이 나를”…50만 구독자 ‘시골살이’ 일본女 충격고백 - 매일경제
- “임신중 갑자기 들이닥친 시어머니”…양손 물건 보고 며느리 ‘그만’ - 매일경제
- 백수 처남에 몰래 월 50만원 준 아내…따졌더니 도리어 ‘버럭’ - 매일경제
- “자고 일어나니 1억 뛰었다”...미분양 아파트값도 끌어올린 ‘반세권’ - 매일경제
- “나도 제니처럼 입을래”…요즘 뜬다는 이 패션, 젊은여성들 난리났다 - 매일경제
- “중국 아니면 큰일날줄 알았는데”…새로운 활로 뚫은 K뷰티 - 매일경제
- “열심히 빚 갚으면 바보”…성실상환자들 불만 고조, 왜? - 매일경제
-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익 6천억원…작년 대비 95.8%↓ - 매일경제
- 유럽클럽랭킹 1위 한국인 입단, 김민재가 이룰까?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