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왕 유골은 애초부터 수중릉에 안치되지 않았다?
이러한 해묵은 지적 갈증을 적셔줄 주장이 신간 도서(유라시안 엔드게임 3편: 가믄의 비밀, 강성운)'에 제기되었다.
특기할 점은 고대 문자 창조 당시의 음운에 착안한 점이다. 저자는 문자 기록만으로 한정했을 때 역사는 3~4천 년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이는 인류의 위대한 여정을 밝히는 데 있어 매우 짧으므로 음운을 통한 보완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대표적 예가 ‘감’이나 ‘가마’ 계통 음운을 묶거나 감긴 형상을 뜻하는 한국어 동사 ‘감다’와 실제 감긴 형상을 나타낸 갑골문 당시의 현(玄)이나 신(申) 자와의 접점을 찾는 식이다. 저자는 초월적 존재인 신(神)의 본자가 신(申)이었고 두 글자의 갑골문 모두 감은 형상이므로 갑골문을 만든 부족은 신성을 뜻할 때 감은 형상을 뜻하는 ‘감’ 계통 음운을 썼다고 논증한다.
이는 감, 검, 곰, 고마 등의 음운을 군장이나 수도의 뜻으로 썼던 고대 한국어나, 가미(神), 가미(上), 기미(君), 기미(公) 등 현재도 같은 뜻으로 쓰는 일본어를 따져볼 때 귀가 솔깃해지는 얘기다. 같은 논거로 경주 감은사(感恩寺)는 이 신성을 뜻하는 ‘감’ 계통 음운을 가차한 것으로, 문무왕은 수중릉이 아닌 감은사 3층 석탑에 화장 후 안치되었다고 단언한다.
저자의 논증대로라면 그동안 한국인들은 문무왕 유해가 없는 수중릉을 발굴해온 것이다. 과연 이 주장이 타당할까? 이에 대해 저자는 “수중릉은 신라인들이 남긴 일종의 디코이”라며, “만약 사서에 사실 대로 썼다면 몽고나 왜군 침입 시 온전치 못했을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감은사 3층 석탑에서 사리가 발굴되었고, 사리장엄구는 현재 용산 국립박물관이 소장 중이다.
저자는 “비단 고대사뿐 아니라 그동안 발굴조사를 통해서도 허탕을 친 바 있는 신라 문무왕 유해의 소재지는 물론, 현재 인류 다수가 공유하는 서수 체계 해독을 통해 고대 동서양의 인적 교류를 유추하는 데 의의를 두고 싶다”라며 “아울러 음운 기호, 문자 기호 등 분석 범위를 넓혀 미력하나마 공공지성에 기여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임신중 갑자기 들이닥친 시어머니”…양손 물건 보고 며느리 ‘그만’ - 매일경제
- “마을 남자들이 나를”…50만 구독자 ‘시골살이’ 일본女 충격고백 - 매일경제
- “이 고춧가루 샀다면 당장 반품하세요”…식약처 당부한 이유는? - 매일경제
- 백수 처남에 몰래 월 50만원 준 아내…따졌더니 도리어 ‘버럭’ - 매일경제
- 충격적인 어닝 쇼크에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가 급등 왜? - 매일경제
- 한번에 44억 ‘껑충’…시장 침체에도 70억에 팔린 이 아파트 - 매일경제
- “자고 일어나니 1억 뛰었다”...미분양 아파트값도 끌어올린 ‘반세권’ - 매일경제
- “좁은 집 탈출해볼까”…3~4% 대출금리에 갈아타기 ‘꿈틀’ - 매일경제
- “아직 갈 길 남아있어”…2차전지株 매수 멈추지 않는 초고수 - 매일경제
- 유럽클럽랭킹 1위 한국인 입단, 김민재가 이룰까?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