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진입 막혔는데…中배터리, 제지없이 한국진출 가속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배터리 업계가 한국 전기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한 업계 관계자는 "내수 판매 중심이던 중국 배터리 회사들이 최근 눈독을 들이는 곳이 한국·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이라면서 "자국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하고 미국·유럽이 손을 잡고 견제에 나섰기 때문인데, CATL·BYD 등이 한국·일본에 지사와 판매법인을 세운 것도 이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업계 "정부, 국내사 보호·현지 협상력 강화를"
중국 배터리 업계가 한국 전기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현대자동차그룹에 배터리 공급을 늘리고 중국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도 들어온다. 반면 K배터리 3사는 중국 정부의 노골적인 방해 공작으로 현지 시장 공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6일 BYD는 GS글로벌과 손을 잡고 공동 개발한 1톤 전기트럭 T4K를 공식 출시했다. 이 전기트럭에는 자사의 신형 블레이드 배터리를 얹었다. BYD는 테슬라와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1위를 다투고 LG에너지솔루션과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 2위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중국 회사다.
BYD는 2018년부터 제주도에 전기버스를 공급했다. 지난달까지 총 301대의 전기버스를 판매했는데 모두 자사 배터리를 실었다. 업계는 BYD가 전기버스에 이어 국내서 가장 잘 팔리는 차종인 1톤트럭을 선보인 것을 두고 한국 전기차 시장 공략의 신호탄으로 해석한다. 상용에 이어 승용분야로 판매 차종을 확대하겠단 의미로 받아들인다.
CATL은 현대차그룹과의 밀월을 강화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LG에너지솔루션·SK온 등에서 배터리를 조달해오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선보인 뒤부터 중국산 물량을 확대하는 추세다. 최근 현대차그룹은 현대차·기아를 통해 2030년까지 각각 17종·15종 이상의 전기차 모델을 내놓고 187만대·160만대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겠단 목표를 제시했다. 상당수 배터리 물량은 중국 회사에 배분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배터리 수급 안정화를 위해 CATL에 이어 BYD 등과도 공급 논의를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인플레이션 방지법(IRA)이 발효된 미국 현지 판매 물량은 국내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조달하지만, 내수 및 기타 수출 물량에는 중국산을 넣어 안정적인 생산에 나서겠단 의중으로 읽힌다. 이런 흐름이면 수년 내 국내 도로 위를 달리는 상당수 전기차에 중국산 배터리가 장착되게 된다.
국내 배터리업계의 불만은 클 수밖에 없다. 한국 기업은 중국 전기차 시장에 장시간 공을 들여왔음에도 현지 정부의 방해로 속도를 내지 못했지만, 중국 기업은 별다른 제지 없이 시장을 잠식하고 있어서다. 중국은 자국 전기차·배터리 생태계 육성을 위해 국내 3사의 자국 시장 진입에 줄곧 제동을 걸었다. 초장기에는 차별적 보조금 정책을 내세웠고, 자국에서 전기차를 판매하려는 완성차 회사들에 자국 배터리 탑재를 종용하며 한국을 견제했다.
현지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유럽에 수출하거나 에너지저장장치(ESS)용으로 판매하며 시장이 열리길 기다렸지만, 여전히 여의찮다. LG에너지솔루션 정도가 테슬라 상하이 기가팩토리 납품 계약을 체결하며 사업을 일궈갈 뿐이다. 업계는 세계 3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을 포기할 수 없어 추가 투자를 계획하고 있지만, 중국산 배터리가 별다른 제지 없이 내수 시장에 유통되는 것에 대해 생각해볼 문제라고 본다.
한 업계 관계자는 "내수 판매 중심이던 중국 배터리 회사들이 최근 눈독을 들이는 곳이 한국·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이라면서 "자국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하고 미국·유럽이 손을 잡고 견제에 나섰기 때문인데, CATL·BYD 등이 한국·일본에 지사와 판매법인을 세운 것도 이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우리 배터리 회사들은 국내서 생산한 제품을 수출하는 게 아닌 직접적인 현지 투자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했음에도 중국 정부가 판로를 막는 것"이라면서 "이런 상황에 한국도 아니고 중국에서 생산된 배터리가 우리 시장에 아무런 제지 없이 공급되는데, 국내 배터리 기업 보호와 현지에서의 협상력 강화를 위해서라도 정부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도현 기자 ok_kd@mt.co.kr 이강준 기자 Gjlee1013@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박철, '간통 유죄' 전처 옥소리 언급…"소유하고 가두려 했다" - 머니투데이
- 정가은, 전 남편과 이혼 5년만 열애?…커플티 사진 공개 - 머니투데이
- 제시카, 호화 생활 즐기더니 월세 못내 '강제집행'…"미납 사실" - 머니투데이
- 선우은숙, 남편 유영재와 갈등에 눈물…"왜 결혼했지, 안행복해" - 머니투데이
- 홍진호, 지난해 포커로 '20억' 벌었다…"국내 랭킹 1위" 자부심 - 머니투데이
- 사색이 된 수험생 "여기가 아니라고요?"…14km 25분에 주파한 경찰 - 머니투데이
- "아파트 아파트"도 아니고 '노이즈' 45번 나온 수능 지문에 수험생 당황 - 머니투데이
- 현대차 노조 '정년 퇴직 후 재고용 직원 조합원 자격 유지' 부결 - 머니투데이
- '호랑이 리더십' 조지호 경찰청장, 민생치안 설계자로 - 머니투데이
- 술 취해 출근한 지하철 기관사 33명…징계는 단 3명 '솜방망이'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