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도 원자론으로 풀어내려 한 데모크리토스[조대호 신화의 땅에서 만난 그리스 사상]
조대호 연세대 철학과 교수 2023. 4. 7. 03:03
《고대 그리스의 원자론은 서양 과학의 전형적 특징들을 보여준다. 자연에 대한 물질 중심적 사고방식, 복잡한 물체를 단순한 것으로 나누어 설명하려는 분석적 태도, 인간의 마음을 포함해서 모든 것을 물질의 운동들로 바꾸어 설명할 수 있다는 환원주의적 확신 등이 그렇다. 19세기까지 서양에서 ‘원자론’이 ‘과학’의 동의어처럼 쓰인 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어느 시대의 과학 체계이건, 서양의 과학 이론은 거의 예외 없이 ‘원자론의 DNA’을 물려받았다.》
모든 물질의 최소 단위는 ‘원자’
원자론을 내세운 데모크리토스는 부잣집 아들이었다. 그의 집안은 보통 부자가 아니라 페르시아 왕이 찾아올 정도로 거부였다. 아버지는 왕의 현자들을 모셔 놓고 아들을 가르치게 했다. 하지만 값비싼 교육을 받은 아들은 성인이 되어 법정에 선다. 온 세상을 여행하며 아버지의 유산을 탕진한 것이 그의 죄목이었다. 하지만 데모크리토스는 당당했다. 그는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는 대신 사람들 앞에서 직접 쓴 책을 펼쳐 읽었다. 내용을 들은 사람들은 그의 지혜에 감탄해서 그를 무죄 방면했다고 한다.
정말로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은 사람들을 사로잡을 만큼 단순 명쾌하다. 그는 세상을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 원리를 가정할 뿐이다. 하나는 원자들이고 다른 하나는 허공이다. 데모크리토스는 자연물들을 계속 나누면 마침내 ‘더 이상 나뉠 수 없는 것’(a-tomon)에 이른다고 보고 물질의 최소 단위를 ‘원자’(atomon)라고 불렀다. 모든 자연물이 흙, 불, 물, 공기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했던 당시 그리스인들에게는 사고의 혁명이었다.
데모크리토스에 따르면 원자들은 크기와 형태가 서로 다르고 수가 무한하다. 이것들이 무한히 넓은 공간에서 운동하다가 서로 부딪쳐 합치거나 흩어진다. 그 결과가 자연물의 생성과 소멸이다. 동물이건 식물이건 천체이건 예외가 없다. 어떤 경우든 생성은 원자들의 결합이고 소멸은 원자들의 해체이다. 하지만 우주의 끊임없는 변화 속에서도 원자들 자체는 사라지지 않고 영원히 존재한다. 영원한 원자들의 결합과 해체가 계속되는 한 우주도 영원할 수밖에 없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들’을 알파벳의 낱글자들에 비유한 적이 있다. A, B, D, G, O 등의 낱글자는 형태가 다르다. 이런 낱글자들이 합쳐서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서로 다른 낱말들을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똑같은 D, G, O가 합쳐도 배열이 다르면 DOG이 될 수도, GOD이 될 수도 있다. ‘소주’와 ‘주소’가 그렇듯이. 이렇듯 낱글자들의 조합으로 생겨난 각각의 낱말이 다른 낱말과 합쳐져 문장을 만들고, 문장과 문장이 합쳐져 긴 텍스트를 만들어낸다. 원자론이 상상한 우주도 그렇게 짜인 거대한 텍스트와 같다. 복잡한 것이 단순한 것으로 나뉘고 마침내 더 이상 나뉠 수 없는 것으로 환원된다는 점은 우주의 모습이나 텍스트의 모습에서나 똑같다. 차이가 있다면, 텍스트는 쓰는 사람이 있지만 원자들로 이루어진 우주에는 그런 원리가 없다는 것뿐이다.
‘영혼의 원자’는 섬세하고 둥글다?
원자론을 내세운 데모크리토스는 부잣집 아들이었다. 그의 집안은 보통 부자가 아니라 페르시아 왕이 찾아올 정도로 거부였다. 아버지는 왕의 현자들을 모셔 놓고 아들을 가르치게 했다. 하지만 값비싼 교육을 받은 아들은 성인이 되어 법정에 선다. 온 세상을 여행하며 아버지의 유산을 탕진한 것이 그의 죄목이었다. 하지만 데모크리토스는 당당했다. 그는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는 대신 사람들 앞에서 직접 쓴 책을 펼쳐 읽었다. 내용을 들은 사람들은 그의 지혜에 감탄해서 그를 무죄 방면했다고 한다.
정말로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은 사람들을 사로잡을 만큼 단순 명쾌하다. 그는 세상을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 원리를 가정할 뿐이다. 하나는 원자들이고 다른 하나는 허공이다. 데모크리토스는 자연물들을 계속 나누면 마침내 ‘더 이상 나뉠 수 없는 것’(a-tomon)에 이른다고 보고 물질의 최소 단위를 ‘원자’(atomon)라고 불렀다. 모든 자연물이 흙, 불, 물, 공기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했던 당시 그리스인들에게는 사고의 혁명이었다.
데모크리토스에 따르면 원자들은 크기와 형태가 서로 다르고 수가 무한하다. 이것들이 무한히 넓은 공간에서 운동하다가 서로 부딪쳐 합치거나 흩어진다. 그 결과가 자연물의 생성과 소멸이다. 동물이건 식물이건 천체이건 예외가 없다. 어떤 경우든 생성은 원자들의 결합이고 소멸은 원자들의 해체이다. 하지만 우주의 끊임없는 변화 속에서도 원자들 자체는 사라지지 않고 영원히 존재한다. 영원한 원자들의 결합과 해체가 계속되는 한 우주도 영원할 수밖에 없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들’을 알파벳의 낱글자들에 비유한 적이 있다. A, B, D, G, O 등의 낱글자는 형태가 다르다. 이런 낱글자들이 합쳐서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서로 다른 낱말들을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똑같은 D, G, O가 합쳐도 배열이 다르면 DOG이 될 수도, GOD이 될 수도 있다. ‘소주’와 ‘주소’가 그렇듯이. 이렇듯 낱글자들의 조합으로 생겨난 각각의 낱말이 다른 낱말과 합쳐져 문장을 만들고, 문장과 문장이 합쳐져 긴 텍스트를 만들어낸다. 원자론이 상상한 우주도 그렇게 짜인 거대한 텍스트와 같다. 복잡한 것이 단순한 것으로 나뉘고 마침내 더 이상 나뉠 수 없는 것으로 환원된다는 점은 우주의 모습이나 텍스트의 모습에서나 똑같다. 차이가 있다면, 텍스트는 쓰는 사람이 있지만 원자들로 이루어진 우주에는 그런 원리가 없다는 것뿐이다.
‘영혼의 원자’는 섬세하고 둥글다?
고대 그리스에는 지혜로운 사람들이 많았지만, 이렇게 단순하고 일관적으로 우주의 근본 구조를 설명한 사람은 없었다. 누구나 데모크리토스의 지혜에 탄복했고 그를 법정에 세웠던 고향 사람들도 그가 죽자 국장을 치렀다고 한다. 하지만 데모크리토스에 대한 평가가 언제나 후했던 것은 아니다. 방대한 저술을 남긴 플라톤은 그의 이름조차 언급하지 않았다. 중세 시대에 그리스 문헌들이 필사(筆寫)되었지만, 데모크리토스의 저술들은 모두 소실되고 지금은 단편들만 남았다. 이유는 한 가지, 그의 원자론은 우주 안에 신과 영혼 같은 비물질적인 존재와 원리가 들어설 여지를 남겨두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자론에 대해 야박한 평가를 내렸다고 후대 사람들만 탓할 일은 아닌 것 같다. 성질이 전혀 다른 영역에 똑같이 원자론을 적용하려고 한 것은 데모크리토스의 과욕이었으니까. 그는 인간을 ‘소우주’(mikros kosmos)라고 부르면서, 인간 역시 ‘대우주’와 똑같이 설명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리스인들은 생명 현상을 ‘영혼’을 통해 이해했는데, 데모크리토스는 이 ‘영혼’도 다른 모든 것처럼 원자들의 운동을 통해 존재한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그에 따르면 ‘영혼의 원자들’은 다른 원자들에 비해 특별히 섬세하고 형태가 둥글다. 둥근 원자들은 다른 원자들에 비해 운동성이 훨씬 뛰어나기 때문에 우리 몸속으로 들어오면 운동을 일으킨다. 몸속에 들어온 둥근 원자들은 몸을 이루는 다른 원자들과 충돌하고 이때 이 원자들이 움직이면서 신체의 운동이 일어난다는 말이다.
기발하다. 하지만 영혼이 비물질적 존재라고 믿었던 플라톤이나 후대 사람들에게 데모크리토스의 생각은 매우 황당하고 불경하기까지 한 것이었다. 육체와 분리된 영혼의 존재를 믿었던 사람들에게만 그랬을까? ‘슈뢰딩거의 고양이’로 유명한 20세기의 이론물리학자 슈뢰딩거 역시, 인간의 자유의지를 설명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을 비판했다. 그의 반론은 간단하다. 우리는 저마다 정신의 자유로운 결정에 의해서 몸을 움직인다는 것을 분명히 의식하고 있다. 하지만 원자론이 옳다면 그런 자유로운 운동은 가능하지 않다. 장차 일어나게 될 원자들의 운동은 그것들의 현재 배치와 운동 상태에 의해 결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어떤 순간이든 그때 도달한 상태는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상태를 낳고 이것은 다시 그에 뒤따르는 상태를 낳고…. 이런 과정이 끝없이 이어진다. 이렇게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원자들의 운동 속에서 우리 자신들이나 살아 있는 것들의 자유로운 행동이 어떻게 가능할까?
“영혼의 경계는 찾을 수 없다”
하지만 원자론에 대해 야박한 평가를 내렸다고 후대 사람들만 탓할 일은 아닌 것 같다. 성질이 전혀 다른 영역에 똑같이 원자론을 적용하려고 한 것은 데모크리토스의 과욕이었으니까. 그는 인간을 ‘소우주’(mikros kosmos)라고 부르면서, 인간 역시 ‘대우주’와 똑같이 설명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리스인들은 생명 현상을 ‘영혼’을 통해 이해했는데, 데모크리토스는 이 ‘영혼’도 다른 모든 것처럼 원자들의 운동을 통해 존재한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그에 따르면 ‘영혼의 원자들’은 다른 원자들에 비해 특별히 섬세하고 형태가 둥글다. 둥근 원자들은 다른 원자들에 비해 운동성이 훨씬 뛰어나기 때문에 우리 몸속으로 들어오면 운동을 일으킨다. 몸속에 들어온 둥근 원자들은 몸을 이루는 다른 원자들과 충돌하고 이때 이 원자들이 움직이면서 신체의 운동이 일어난다는 말이다.
기발하다. 하지만 영혼이 비물질적 존재라고 믿었던 플라톤이나 후대 사람들에게 데모크리토스의 생각은 매우 황당하고 불경하기까지 한 것이었다. 육체와 분리된 영혼의 존재를 믿었던 사람들에게만 그랬을까? ‘슈뢰딩거의 고양이’로 유명한 20세기의 이론물리학자 슈뢰딩거 역시, 인간의 자유의지를 설명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을 비판했다. 그의 반론은 간단하다. 우리는 저마다 정신의 자유로운 결정에 의해서 몸을 움직인다는 것을 분명히 의식하고 있다. 하지만 원자론이 옳다면 그런 자유로운 운동은 가능하지 않다. 장차 일어나게 될 원자들의 운동은 그것들의 현재 배치와 운동 상태에 의해 결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어떤 순간이든 그때 도달한 상태는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상태를 낳고 이것은 다시 그에 뒤따르는 상태를 낳고…. 이런 과정이 끝없이 이어진다. 이렇게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원자들의 운동 속에서 우리 자신들이나 살아 있는 것들의 자유로운 행동이 어떻게 가능할까?
“영혼의 경계는 찾을 수 없다”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은 고대 그리스에서 탄생한 가장 ‘과학적인’ 이론이다. 그 기본 원리는 19세기까지 살아남았다. 하지만 서양 최초의 과학 이론은 인간을 설명하는 데서 그만 곁길로 빠져들었다. 인간은 단순한 물질이 아니라 생명체이고, 단순한 생명체가 아니라 의식을 가진 존재라는 사실을 데모크리토스는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던 셈이다. ‘소우주’가 ‘대우주’보다 설명하기 더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그는 몰랐다. 선배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의 말을 진지하게 받아들였다면 그런 패착을 피할 수 있지 않았을까? “모든 길을 두루 거쳐 다녀도 영혼의 경계를 찾아낼 수 없으리라. 영혼은 이처럼 깊은 로고스를 간직하고 있다.”
학문에서든 삶에서든 많이 아는 것은 분명 큰 미덕이다. 하지만 자신이 가진 앎의 한계를 아는 것은 더 큰 미덕이다. 큰 미덕이 더 큰 미덕을 가리면 길을 잃는다. 데모크리토스 같은 현자도 그렇게 길을 잃었다.
학문에서든 삶에서든 많이 아는 것은 분명 큰 미덕이다. 하지만 자신이 가진 앎의 한계를 아는 것은 더 큰 미덕이다. 큰 미덕이 더 큰 미덕을 가리면 길을 잃는다. 데모크리토스 같은 현자도 그렇게 길을 잃었다.
조대호 연세대 철학과 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지지율 추락, 설화, 재보선까지… 위기의 與
- “마시는 학생 봤다”…‘마약음료’ 목격담 쏟아져도 신고는 저조, 왜?
- [단독]‘강남 살인’ 윗선의혹 부부-피해자, 코인 동업…폭락하자 소송전
- 여의도 ‘옴파탈’ 이준석… ‘3개월 임시직’에서 여당 대표까지[황형준의 법정모독]
- 이재명 선친 묘소 훼손 사건의 ‘반전’…“문중이 기(氣) 보충한 것”
- 급진보하는 인공지능… 골렘? 아니면 엔키두?[광화문에서/조종엽]
- ‘거짓 지식’ ‘개인정보 침해’… AI 개발 잠시 멈춰야 하나[횡설수설/송평인]
- 전주을 진보당 당선…민주 “후보 안냈지만 민심 경고” 긴장
- 전국 초미세먼지주의보 발령…내일 전북 충남 등 5곳 비상저감조치
- 현대차 노조 “인원충원 해달라”…아산공장 4시간반 멈춰세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