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취해소센터’로 변경…실효성 있을까?
[KBS 부산] [앵커]
술 취한 사람을 돕는 응급의료센터가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뉴스, 어제 전해드렸죠.
부산 경찰이 우선 응급실 고충을 덜기 위해 응급의료센터를 구호소로 변경하기로 했는데요,
효과가 있을까요?
공웅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들것에 실려 지구대 안으로 들어오는 30대 남성.
탁자에 엎드려 있던 남성은 갑자기 일어섰다 넘어져 뒷유리에 머리를 부딪칩니다.
그러고는 지구대에 온 지 4시간 뒤에 보호자에게 인계됐지만, 두개골 골절로 뇌출혈 판정을 받았습니다.
주취자 응급의료센터를 만든 이유,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현장 경찰관은 주취자를 보호하면서 응급상황 점검표에 따라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데, 여기서 하나라도 징후가 발견된다면 그 즉시 '응급의료센터'로 이송할 수 있습니다.
제때 의료진이 개입하면 사망하거나 중증으로 악화하는걸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난해 센터를 설치하고도 운영을 제대로 못 할 만큼 응급실 의료진의 고충이 커지는 상황.
부산 경찰은 일단 주취자 응급의료센터를 구호소 개념의 '주취해소센터'로 바꿔 운영해 보기로 했습니다.
의사가 아닌 소방대원이 주취자의 건강 상태를 살피고, 의료진 도움이 필요할 때만 도움을 요청한다는 게 핵심입니다.
[오부걸/부산경찰청 생활질서계장 : "경찰과 소방이 (주취자를) 보호조치하는 과정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만 (의사가) 진료에 개입하기 때문에 의료원의 부담도 상당 부분 줄어들지 않겠나 예상하고 있습니다."]
부산시의회도 조례를 통해 주취해소센터를 만들고 운영할 수 있게 뒷받침한다는 계획입니다.
[강철호/부산시의원 : "당사자(주취자)가 범죄의 피해자도 될 수 있지만, 또 범죄의 가해자도 될 수 있는 처지거든요. 그래서 (주취해소센터가) 우리 시민을 보호할 수 있고, 사회 공공질서 유지 이런 부분에 많은 기여를…."]
그러나 일각에서는 경찰, 소방, 의료 현장에서까지 주취자 대응에 인력, 비용 등 부담이 늘고 있는 만큼 '주취자를 어디까지 보호해야 할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다시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공웅조입니다.
공웅조 기자 (salt@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카톡 감옥’ 4년 따돌림 극단 선택…엄마는 지금도 싸운다
- 메가 ADHD, ‘마약 피싱’이었나…협박 전화 역추적
- 원청 대표에게 책임 지웠지만…처벌 수위는 그대로
- “바빠도 사람이 먼저”…2명 생명 구한 택시기사
- 비 온 뒤 ‘고농도 미세먼지’ 습격…평소 10배 넘어
- ‘수출규제 해제’ 앞서간 한국, 느긋한 일본…회담 후속조치 속도차
- 고속도로에서 갑자기 유턴…‘의문의 역주행’ 통근버스 기사 사망
- 불안한 ‘C등급’ 다리들…실태 파악도 못한 성남시
- 진보당, 21대 국회 진입…국민의힘 총선 비상령
- 직불금 확대에도 ‘반발’…“강행 양곡법도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