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보장구 ‘수리센터·인력’ 태부족… 장애인들 “기다리다 지쳐요”
전동휠체어 등 중증장애인의 신체 역할인 보조장비기구를 수리하는 경기도내 장애인 보장구 수리센터가 수요에 비해 태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리센터 내 인력마저 부족해 수리 기간이 지연되는 등 장애인들이 센터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을 겪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6일 경기도장애인협회 등에 따르면 도내 장애인 보장구 수리센터는 약 30곳으로 추산된다. 도에서 사업비를 지원해 경기도장애인협회가 운영하거나 일부 시·군에서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 지회별로 지원해 운영하는 방식이다. 경기도장애인협회가 운영하는 곳은 1곳이며 경기도지체장애인단체 내 수리센터는 남양주, 양평 등 11곳으로 집계된다. 나머지 곳들은 별도의 장애인단체에서 운영 중이다.
장애인 보장구 수리센터는 신체 제약을 가진 장애인을 위한 수리 기관으로 주로 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 수동휠체어 바퀴를 수리하고 모터와 배터리 등을 교체한다.
문제는 도내 중증장애인의 수에 비해 수리센터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도내 중증장애인은 21만5천402명으로 전체 장애인(58만4천843명)의 36.8%를 차지한다. 이들 중증장애인 수를 수리센터와 단순 비교했을 때 수리센터 한 곳당 7천180대의 보장구 수리를 감당해야 되는 셈이다.
더욱이 수리센터당 배치된 인력조차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수리센터 한 곳당 연 평균 600여건의 보장구 수리를 감당하고 있지만 수리센터 당 근무하는 인력은 2~3명이다. 도내 한 수리센터 근무자는 “10년 넘게 2명이 센터를 운영 중이다. 매년 도에 인력 충원을 요청하지만 한 번도 인력 충원이 이뤄진 적이 없다”며 “인력이 부족해 수리 기간도 길어지면 휠체어를 이용하는 중증장애인분들은 외출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출장 수리가 잦은 편인데 출장이라도 가는 날엔 센터를 찾아온 분들의 휠체어를 수리할 수 없어 사실상 문을 닫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기도장애인협회 관계자는 “수리센터가 없는 곳은 출장 등을 통해 공백을 해결할 수 있지만 현재 인력으로는 이마저도 버거운 상황”이라며 “결국 보장구 이용자들만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본질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리센터와 센터 내 근무자를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아직은 도 차원에서 수리센터와 인력을 늘릴 계획은 없다. 각 지역에서 수요를 조사해 센터를 늘려야 한다”면서도 “장 기간 수리 시 휠체어 휠체어 및 스쿠터 대여 등을 통해 센터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은진 기자 kimej@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 김동연, 이재명 1심 선고 관련 “사법부 판단, 매우 유감”
- 수능 다음날... 평촌·분당 학원가 '썰렁' [포토뉴스]
- 경기도.평택시 노사민정 “기후위기·탄소중립 선제 대응해야”
-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1심서 징역1년·집유2년…의원직 상실형
- 이재명 대권 행보 ‘먹구름’...한동훈 "사법부 결정에 경의"
- “교육발전특구, 파프라카”…파주교육지원청, 올해 5대 뉴스 발표
- 경기동부보훈지청, 재가보훈대상 어르신들과 ‘소확행 나들이’
- 게임서 만난 중학생과 성관계한 20대 검거
- [영상] 신천지, 경기도청 앞에서 역대 최대 집회 개최…김동연 지사 규탄
- 이재명 선고에 보수 ‘환호’ 진보 ‘실신’…경찰, 충돌 방지 초긴장 [현장, 그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