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크론병·궤양성대장염, 재발 예측 가능해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어린이 염증성 장 질환 환자가 생물학적 제제(주사제)를 끊으면 질환이 언제 재발할지 예측하는 지표가 개발됐다.
김미진ㆍ최연호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팀이 최근 소아 염증성 장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제인 생물학적 제제를 끊었을 때 재발 가능성을 가늠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린이 염증성 장 질환 환자가 생물학적 제제(주사제)를 끊으면 질환이 언제 재발할지 예측하는 지표가 개발됐다.
염증성 장 질환은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으로 나뉜다. 만성적으로 생기는 염증이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관 부위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하면 크론병, 대장 점막이나 점막하층에만 생기면 궤양성 대장염이다.
염증성 장 질환은 전체 환자의 25%가 20세 이전 소아·청소년일 정도로 어린 나이 환자가 많다. 잦은 복통과 설사로 일상 생활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성장 발달에도 영향을 미쳐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치료 약을 오래 복용할수록 부작용이 생길 위험이 커지고, 단기간 복용하면 재발 우려가 높아 약을 끊는 시기를 정하는 게 쉽지 않은 실정이다.
김미진ㆍ최연호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팀이 최근 소아 염증성 장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제인 생물학적 제제를 끊었을 때 재발 가능성을 가늠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생물학적 제제를 초기부터 충분 기간 사용한 후 약을 끊으면 장 내 점막이 치유된 환자는 면역 기능에 관여하는 단핵구 비율로 재발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핵구는 염증성 장 질환 면역 반응에서 상부 염증 과정에 관여한다.
연구팀은 2003년 1월~2021년 12월 삼성서울병원에서 염증성 장 질환을 진단받은 소아 환자 727명을 대상으로 생물학적 제제 중단 후 재발군과 재발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고 생물학 제제를 중단할 당시 임상적 특징, 단핵구, 질병 활성도 등을 평가했다.
그 결과, 생물학적 제제를 중단할 당시 단핵구 비율, 절대 단핵구 수, 단핵구/다형성백혈구(PMN) 비율이 재발한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여러 확률적 변수를 고려해 분석한 결과, 단핵구 백분율과 단핵구/다형성백혈구(PMN) 비율이 재발 위험 요인이었다. 악을 끊을 당시 혈액 내 단핵구 비율이 8.15%를 초과하면 환자 증상이 감소해도, 단약 6개월 이내에 재발할 확률이 높았다.
이번 연구로 생물학적 제제를 끊은 뒤 단핵구 비율이 재발 예측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가 마련됐다.
김미진 교수는 “현재 중증도 이상의 염증성 장 질환 환자를 진료할 때 초기부터 톱다운 치료 전략으로 빠르게 관해(寬解ㆍremission)와 약 중단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가까운 미래에 병 완치에도 도전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프론티어즈 인 이뮤놀로지(Frontiers in Immunology)’에 최근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강남 수험생에 '기억력 좋은 음료' 시음… 마약이었다
- "두릅밭인데 살려주세요"... 운동 갔다 우물에 빠진 79세 남성 15시간 만에 구조
- "남편 주차 자리 못 비켜" 주차장서 드러누운 여성[영상]
- 7년 끈 학폭 재판 3회나 불출석해 패소한 변호사... 유족 "억장 무너져"
- '나는 솔로' 13기, 5쌍 커플 나왔다…역대 최다 기록
- 수개월 전 안전진단 땐 '양호'... 30년 된 정자교 왜 무너졌나
- 10년 넘게 세 발로 지낸 사육곰, 이제 행복할 수 있을까요
- [장애인 일자리가 없다] 기업들 고용 장벽에... '생존 벼랑' 내몰리는 장애인들
- 댄서 허니제이, 오늘(5일) 출산…엄마 됐다
- 내 '죽을 권리', 왜 정치인에 맡기나...프랑스는 '시민의회'가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