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리튬이온배터리 상태 진단 모델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UNIST(총장 이용훈)는 김동혁·최윤석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과 임한권 탄소중립대학원 교수팀이 리튬이온배터리 건강상태 진단 모델인 '리튬이온 배터리 평가를 위한 딥러닝 기반 그래픽 접근법(D-GELS)'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손실된 충·방전 데이터의 크기가 클수록 진단 정확도는 떨어지고, 리튬이온배터리 상태 진단 결과는 초기 방전 데이터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도 확인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분 데이터 활용...다양한 양극재에 적용 가능
UNIST(총장 이용훈)는 김동혁·최윤석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과 임한권 탄소중립대학원 교수팀이 리튬이온배터리 건강상태 진단 모델인 '리튬이온 배터리 평가를 위한 딥러닝 기반 그래픽 접근법(D-GELS)'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D-GELS'는 전압, 전류, 온도 등 충·방전에 따른 데이터 변화를 학습하고, 도출한 충·방전 데이터를 시각화해 배터리 현재 상태를 진단한다. LFP(리튬·인산·철),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NMC(니켈·코발트) 등 리튬이온배터리 3개 양극재에 적용할 수 있다.
연구진이 D-GELS로 예측한 배터리 건강상태는 기존 진단 모델보다 정확했다. 부분 충·방전 데이터를 기존 충·방전 데이터 형태로 복원해 진단 정확도를 높였다. 연구진이 각각 12.5%, 25%, 50%, 75% 손실된 충·방전 데이터를 기존 충·방전 데이터로 복원해 상태를 진단한 결과,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손실된 충·방전 데이터의 크기가 클수록 진단 정확도는 떨어지고, 리튬이온배터리 상태 진단 결과는 초기 방전 데이터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도 확인했다.
이번 연구성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머티리얼스 호라이즌스' 2월호에 실렸다.
공동 제1저자 이현준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박사는 “부분 충·방전 데이터로 배터리를 진단하면 폐배터리 재활용에 필요한 많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며 “새로운 배터리 진단 접근법이고 충·방전 조건에 제한없이 적용 가능한 범용 모델”이라고 말했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동화 속도 내는 기아, 2030년 판매 목표 160만대로 상향
- 원전 이용률 2년 연속 80% 돌파…정상궤도 올라
- VC 실적 곤두박질…업계 1위 한투파, 작년 매출 반토막
- 케이블TV, '지역채널 커머스' 규제샌드박스 연장 신청
- 英 커밀라, '불륜녀' 딱지 18년만에 왕비로…찰스3세 대관식 초청장에 기입
- [주말 나들이]바다 내음 만끽하는 힐링 여행지 '인천'
- 갤Z플립5, 커버 화면 '확' 커질까...색상 옵션은
- [ITRC 인재양성대전 2023]<2>부산대 블록체인 플랫폼 연구센터
- [뉴욕국제오토쇼]세계 올해의 車 쾌거 '아이오닉6'…美 공략할 '코나·EV9'
- 주요 정보보안 기업, 2022년 외형과 내실 고른 성장세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