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中 국가이미지 바꾸려 매력 공세…그러나 갈 길 멀다"
코로나 발원지, 대만 상대 도발, 인권 탄압 이미지 개선 난망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시진핑 국가주석 주도로 중국이 국가 이미지 개선을 위해 총력전을 펴고 있으나 성과가 크지 않아 보인다고 블룸버그통신이 6일 진단했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발원지, 대만해협 군사적 위기 조장, 홍콩 민주화·신장위구르 인권 탄압, 개발도상국 상대 채무 외교 등의 부정적인 변수로 인해 중국 당국의 노력에도 한계가 분명하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달 19일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폐막으로 '집권 3기'를 본격 개시한 시 주석은 당일 중국 중재로 숙적이었던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간 국교 복원 사실을 공개해 세계를 놀라게 했다.
'세계 지도자'로서 시 주석의 이미지를 부각했던 순간이었다.
같은 달 시 주석은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우크라이나 전쟁 중재 의지를 피력했다. 그러면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만나겠다고 공표한 뒤 현재 중재안을 다듬고 있어 보인다.
'뾰족한 수'가 없다면 중재가 성사되기는 쉽지 않아 보이지만, 그런데도 이를 계기로 세계 지도자로서 시 주석의 몸값은 높아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 주석은 이 같은 외교 이벤트를 거친 뒤 바이든 미 대통령과 회담을 열겠다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
시 주석의 이런 제스처는 우선 단기적으로 대만·'정찰 풍선'·첨단 반도체 갈등 문제 등을 빌미 삼은 미국의 압박을 누그러뜨리려는 의도로 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주요 2개국(G2) 지도자로서 위상을 강화하려는 시도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를 두고, 블룸버그는 "시 주석이 '망가진' 중국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매력 공세를 개시했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퓨리서치센터 조사에서 미국, 일본, 한국, 호주, 스웨덴 응답자의 5분의 4가 중국에 비우호적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통신은 전했다.
특히 지난 3년 가까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중국 당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 등의 폐쇄적인 방역 조치를 편 탓에 중국의 이미지가 크게 추락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중국의 줄기찬 부인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기원설은 중국 내 실험실 사고로 인한 유출설과 박쥐를 매개로 한 자연 전파설 등으로 요약된다. 다시 말해 어쨌든 중국이 발원지라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중국 당국은 시 주석의 집권 3기 출범을 계기로 '세계 지도자 시진핑' 이미지를 부각하며 그에 걸맞은 외교적 성과로 중국의 위상을 높이려 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 주석도 공산당 간부들에게 "더 신뢰할 수 있고, 사랑스럽고, 존경할만한" 중국의 이미지가 필요하다는 주문을 하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그러나 여타 변수들로 인해 중국 당국의 이런 노력에도 이미지 개선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먼저 대만 관련 상황이 그렇다.
중국은 작년 8월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이 대만을 방문하자 사실상 침공을 염두에 둔 대만 봉쇄 군사훈련을 실시한 데 이어 전날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 케빈 매카시 미 하원의장의 미국 회동을 빌미로 다시 군사적 위협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으로 국제사회와 불화하는 중국은 국제무역의 최대 수송로라고 할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깨려는 도발국으로도 인식되고 있다.
또 중국은 최근 수년간 홍콩의 민주화 시위를 무력으로 탄압했는가 하면, 신장위구르 인권 탄압 지적에도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최근 새롭게 눈길을 끄는 대목은 개발도상국을 상대로 한 중국의 채무 외교다.
지난달 6일 중국은 스리랑카의 부채 탕감 협정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구체적인 협상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스리랑카에 기존 채무를 신규 차관으로 변제하는 차환(借換)을 요구했던 중국은 결국 부채 경감에 합의함으로써 스리랑카가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이 당면한 문제가 작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스리랑카에 부채 경감을 해준 걸 계기로 잠비아와 에콰도르 등 다른 채무국들도 유사 조치를 요구하는 상황에 직면했을뿐더러 중국 내부 반발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홍콩시립대의 류둥수 정치학과 교수는 "중국인은 자국이 강대국이 되길 원하지만, 그 비용을 감당할 준비가 안 돼 있다"며 "경제가 호황일 때는 개도국에 대한 인프라 대출과 원조 제공에 반대가 없지만, 불황일 때는 반발이 작지 않을 것"이라고 짚었다.
kjih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의문의 진동소리…옛날 가방 속 휴대폰 공기계 적발된 수험생 | 연합뉴스
- 타이슨, '핵주먹' 대신 '핵따귀'…폴과 대결 앞두고 선제공격 | 연합뉴스
- 주행기어 상태서 하차하던 60대, 차 문에 끼여 숨져 | 연합뉴스
- YG 양현석, '고가시계 불법 반입' 부인 "국내에서 받아" | 연합뉴스
- 아파트 분리수거장서 초등학생 폭행한 고교생 3명 검거 | 연합뉴스
- [사람들] 흑백 열풍…"수백만원짜리 코스라니? 셰프들은 냉정해야" | 연합뉴스
- 전 연인과의 성관계 촬영물 지인에게 보낸 60대 법정구속 | 연합뉴스
- 머스크, '정부효율부' 구인 나서…"IQ 높고 주80시간+ 무보수" | 연합뉴스
- '해리스 지지' 美배우 롱고리아 "미국 무서운곳 될것…떠나겠다" | 연합뉴스
- [팩트체크] '성관계 합의' 앱 법적 효력 있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