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역사의 그늘에 가려진 재일제주인들

유용두,강재윤 2023. 4. 5. 19: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제주] [앵커]

제주인들은 굴곡의 75년을 견뎌오며 4·3을 역사의 양지에 올려놓았는데요,

하지만, 70여 년 전 4·3의 광풍을 피해 일본으로 건너갔던 많은 재일제주인들은 아직도 그늘 속에 가려져 있습니다.

일본 오사카에서 유용두, 강재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70여 년 전 4·3의 소용돌이 속에서 외할머니와 두 외삼촌을 잃고, 쫓기듯 일본으로 건너와 어느덧 쉰 해를 넘긴 고춘자 할머니, 아픈 가족사를 품고 있지만 공식적으로 4·3 유족이 아닙니다.

호적상 친어머니가 아닌 아버지의 첫 번째 부인 딸로 올라가 있기 때문입니다.

[고춘자/미인정 4·3 유족 : "어머니 딸이 아니니까 어머니가 그렇게 마음 아픈 일을 겪었지만 그 보상을 받을 수가 없어요."]

4·3을 전후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민은 최대 만 명으로 추산됩니다.

현재 일본 오사카에만 약 7만 명의 재일제주인들이 거주하게 된 배경입니다.

많은 이들의 희생으로 국내에서 4·3 진상규명이 진전을 이루고 특별법 제정과 희생자 보상으로 어어졌지만, 이곳 재일제주인들에게 봄 바람의 온기는 충분히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재일제주인 가운데 4·3 희생자는 70여 명, 유족으로 인정된 이도 900여 명에 그칩니다.

앞서 이뤄진 재일제주인 4·3 진상조사가 충분치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는데, 조사 대상 확대와 함께 이념의 장벽 때문에 가로막혔던 조총련 계열 피해 조사가 과제로 꼽힙니다.

지난해 3월부터 시작된 추가 진상조사가 주목받는 이윱니다.

[오광현/재일본 제주4·3희생자 유족회장 : "제주도도 한국 정부도 남북 관계 없이 대응해야 하는 일입니다. 누구든지 4·3 관련된 사람은 평등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제한적으로 이뤄지는 추가 희생자와 유족 접수 기간을 상설화하고, 고령에 언어 장벽까지 있는 일본 유족들을 고려해 유족 신청이나 보상금 관련 적극적인 방문 상담과 접수가 필요하다는 요구도 있습니다.

특히, 4·3특별법 개정 등 중요한 논의 과정에서 의견 수렴도 절실합니다.

[문경수/일본 이츠메이칸대 교수 : "핵심적인 내용에 관해서 제주에서 논의를 할 때, 문제 해결에 관해 움직임이 있을 때 재일동포가 외면당했거든요."]

고춘자 할머니 사례에서 드러나듯 뒤틀린 호적 관계를 바로잡는 과정에 재일제주인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하는 이유도 이때문입니다.

KBS 뉴스 유용두입니다.

촬영기자:강재윤
https://news.kbs.co.kr/special/danuri/2022/intro.html

유용두 기자 (yyd9212@kbs.co.kr)

강재윤 기자 (jaeyun@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