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전의 김지하 “한류 열풍은 恨의 그늘서 피어난 ‘흰’ 신명”
최훈진 기자 2023. 4. 5.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류 미학의 핵심은 무엇이어야 할 것인가? 그것은 이 컴컴한 질병과 죽음의 시대가 요구하는 치유의 예술, 치유의 약손입니다. 대혼돈 속에서 신음하는 인격-비인격, 생명-무생명 일체를 다 같이 거룩한 우주공동체로 들어 올리는 모심의 세계문화대혁명, 이를 위한 아시아 네오 르네상스의 미학이 요구된다는 것이지요." 고 김지하 시인(1941∼2022)이 2016년 5월 홍용희 경희사이버대 미디어문예창작과 교수(문학평론가)와의 대담에서 한 말이다.
권위주의 시대 저항과 투쟁의 상징이었으며 생명사상가, 미학이론가로 족적을 남긴 김 시인과의 대담집 '김지하 마지막 대담'(도서출판 작가·사진)이 고인의 1주기(다음 달 8일)를 앞두고 최근 출간됐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8차례 대담한 홍용희 교수
‘김지하 마지막 대담’ 출간
“평생 생명의 세계에 천착한 시인”
‘김지하 마지막 대담’ 출간
“평생 생명의 세계에 천착한 시인”
“한류 미학의 핵심은 무엇이어야 할 것인가? 그것은 이 컴컴한 질병과 죽음의 시대가 요구하는 치유의 예술, 치유의 약손입니다. 대혼돈 속에서 신음하는 인격-비인격, 생명-무생명 일체를 다 같이 거룩한 우주공동체로 들어 올리는 모심의 세계문화대혁명, 이를 위한 아시아 네오 르네상스의 미학이 요구된다는 것이지요.”
고 김지하 시인(1941∼2022)이 2016년 5월 홍용희 경희사이버대 미디어문예창작과 교수(문학평론가)와의 대담에서 한 말이다.
고 김지하 시인(1941∼2022)이 2016년 5월 홍용희 경희사이버대 미디어문예창작과 교수(문학평론가)와의 대담에서 한 말이다.
권위주의 시대 저항과 투쟁의 상징이었으며 생명사상가, 미학이론가로 족적을 남긴 김 시인과의 대담집 ‘김지하 마지막 대담’(도서출판 작가·사진)이 고인의 1주기(다음 달 8일)를 앞두고 최근 출간됐다. 책은 2003∼2017년 홍 교수와 고인이 8차례 벌인 대담 내용을 담았다. 김 시인은 대담에서 자신이 정립한 생명사상과 미학이론을 바탕으로 촛불시위, 한중일 관계 등 다양한 분야의 사안에 대한 의견을 냈다.
김 시인은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붉은악마의 응원, 2000년대 초 한국 드라마의 세계적 유행 등을 민족적 미학의 원형인 ‘흰 그늘’로 해석했다. ‘흰 그늘’은 굴곡진 삶에서 한(恨)을 인내하며 생겨나는 깊은 ‘그늘’과 그 속에서 ‘흰’ 빛, 즉 신명이 피어난다는 원리다. 김 시인의 미학이론의 핵심이기도 하다. “한을 함부로 흩어버리면 안 돼. 이를 악물고 견디고 참아야 해. 그러면서 삭혀야 해. 삭히고, 발효. 김치나 식혜처럼. 절에서 참선하는 중처럼. … ‘흰’ 빛이라는 것 자체가 불, 빛, 광명, 신명, 신바람으로서 아우라입니다. 그래서 그늘에 아우라가 플러스된 거예요.”
김 시인은 시를 생명 자체로 여겼다. “근본적인 시학 자체가 생명의 진행, 시간의 움직임, 변화 이런 것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지. 그걸 떠나면 시는 아무 가치가 없어. … 드러난 것과 숨겨진 것. 숨겨진 것이 겉으로 드러나고 가시화되어 지각되는 것. 그게 진화고 생명이고 물질이지.”
홍 교수는 3일 전화 통화에서 “김지하 선생은 어떻게 하면 생명의 세계가 구현될 수 있는지에 가장 관심을 뒀다”며 “타는 목마름으로 생명을 노래한 시인”이라고 말했다.
홍 교수는 1995년 김 시인을 처음 만나 20년 넘게 교분을 나누는 한편 그의 사상을 연구해 왔다. 대담집 출간 계기에 대해 “2016년쯤 김 시인의 사상에 젊은 세대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그간의 대담 내용을 정리하기로 했다”며 “팬데믹 기간 만남이 차단된 데다 지난해 선생이 운명하면서 2017년 대담이 마지막이 됐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김 시인의 사상이 위기에 직면한 현대 사회에 빛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시인은 근대문명이 가져온 생명 가치 상실, 기후위기 등을 고민하며 대안을 찾아 나갔습니다. 오늘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김 시인의 사상이 출구를 제시해줄 겁니다.”(홍 교수)
김 시인은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붉은악마의 응원, 2000년대 초 한국 드라마의 세계적 유행 등을 민족적 미학의 원형인 ‘흰 그늘’로 해석했다. ‘흰 그늘’은 굴곡진 삶에서 한(恨)을 인내하며 생겨나는 깊은 ‘그늘’과 그 속에서 ‘흰’ 빛, 즉 신명이 피어난다는 원리다. 김 시인의 미학이론의 핵심이기도 하다. “한을 함부로 흩어버리면 안 돼. 이를 악물고 견디고 참아야 해. 그러면서 삭혀야 해. 삭히고, 발효. 김치나 식혜처럼. 절에서 참선하는 중처럼. … ‘흰’ 빛이라는 것 자체가 불, 빛, 광명, 신명, 신바람으로서 아우라입니다. 그래서 그늘에 아우라가 플러스된 거예요.”
김 시인은 시를 생명 자체로 여겼다. “근본적인 시학 자체가 생명의 진행, 시간의 움직임, 변화 이런 것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지. 그걸 떠나면 시는 아무 가치가 없어. … 드러난 것과 숨겨진 것. 숨겨진 것이 겉으로 드러나고 가시화되어 지각되는 것. 그게 진화고 생명이고 물질이지.”
홍 교수는 3일 전화 통화에서 “김지하 선생은 어떻게 하면 생명의 세계가 구현될 수 있는지에 가장 관심을 뒀다”며 “타는 목마름으로 생명을 노래한 시인”이라고 말했다.
홍 교수는 1995년 김 시인을 처음 만나 20년 넘게 교분을 나누는 한편 그의 사상을 연구해 왔다. 대담집 출간 계기에 대해 “2016년쯤 김 시인의 사상에 젊은 세대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그간의 대담 내용을 정리하기로 했다”며 “팬데믹 기간 만남이 차단된 데다 지난해 선생이 운명하면서 2017년 대담이 마지막이 됐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김 시인의 사상이 위기에 직면한 현대 사회에 빛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시인은 근대문명이 가져온 생명 가치 상실, 기후위기 등을 고민하며 대안을 찾아 나갔습니다. 오늘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김 시인의 사상이 출구를 제시해줄 겁니다.”(홍 교수)
최훈진 기자 choigiza@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尹 거부권 vs 野 입법독주’ 충돌 시작됐다
- IMF “韓 부동산PF 대출 취약… 채무불이행 재발 우려”
- 서울에도 ‘분교’ 생긴다
- 네이버, 검색 알고리즘 조작-가짜후기 방치… 與, 갑질 공청회 연다
- “첨단산단 조성, 속도가 관건”… ‘60일 타임아웃’ 인허가 특례
- 트럼프 “美, 지옥으로 가고 있다”… 기소 반발 찬반시위에 교통 마비
- 강남 납치살인, 윗선이 사주했나… 4000만원 착수금 여부 수사
- “연금개혁 성공하려면 여야가 ‘정쟁 않겠다’ 합의부터 이뤄야”
- 서울 시내 곳곳 정전…은평 이어 강남·서초도
- 국민의힘 원내대표 후보자 2人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