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쟁탈전에 인건비 5년새 2배 급증···'3N' 마른 수건 짠다
넷마블, 지난해에만 7690억 지출
10년만에 영업손실 1087억 기록
엔씨·넥슨도 영업익 제자리걸음
◇수익성 확보 비상등
경직된 노동법상 구조조정 쉽잖아
채용 축소·인력 재배치 자구책 마련
신작 출시 등 실적 반등에 안간힘
국내 게임업계를 이끌고 있는 이른바 ‘3N(넥슨·엔씨소프트·넷마블)’의 인건비 부담이 최근 5년새 2배 가까이 늘어난 반면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제자리걸음을 하거나 오히려 뒷걸음질 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중국의 제한적 ‘판호(게임허가증)’ 발급을 비롯해 코로나 엔데믹과 모바일게임 시장 포화, 확률형 아이템 규제와 같은 악재가 맞물리며 경영 환경이 악화하고 있어 수익성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이들 ‘게임사 빅3’는 올해 공격적인 신작 출시와 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 추진으로 활로를 모색 중이지만 경직된 국내 노동환경을 감안하면 인건비 부담이 두고두고 발목을 잡을 것으로 분석된다.
4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3N은 지난해 역대 최고 매출을 기록했지만 인건비 부담이 급증하며 수익성이 악화했다. 3N 중 인건비 급등으로 가장 타격이 큰 곳은 넷마블이다. 넷마블은 최근 5년새 2배 가까이 급증한 인건비를 감당하지 못해 지난해 1087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넷마블이 영업손실을 기록한 것은 2012년 이후 10년 만이다.
넷마블은 2018년 연결기준으로 급여 2933억 원, 상여 397억 원, 퇴직급여 211억 원, 복리후생비 514억 원 등을 더해 4055억 원을 인건비로 지출했지만 지난해에는 7690억 원까지 치솟았다. 4년 만에 직원 인건비 관련 부담이 3500억 원 이상 늘어난 셈이다. 넷마블은 올해 ‘아스달연대기’를 비롯한 9종의 게임을 신규 선보이며 실적 반등을 꾀한다는 방침이지만 액션 어드벤처게임 ‘원신’을 중심으로 모바일 게임 시장을 장악 중인 중국 업체와의 경쟁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인건비 급증에 따른 부담 증가는 엔씨소프트 또한 마찬가지다. 엔씨소프트는 2018년만 해도 종업원 급여 항목으로 5599억 원(연결기준)을 지출했지만 우수 개발자 쟁탈전이 치열하게 전개된 2021년의 관련 비용은 8793억 원까지 치솟았다. 지난해에는 8754억 원으로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전체 매출(2조5718억 원)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3분의 1 수준에 이른다. 엔씨소프트는 연내 출시하는 신작 4종과 수년째 투자를 이어 온 인공지능(AI) 기술 접목 등으로 최근 3년 간 정체된 매출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지만 캐시 카우인 '리니즈' 시리즈 열기가 예전만 못한만큼 또 다른 흥행작이 절실한 상황이다.
3N 중에 가장 수익구조가 탄탄하다고 평가 받는 넥슨 또한 인력이 빠르게 늘며 인건비 부담이 급증했다. 넥슨 직원 수는 2020년 6288명에서 지난해 말 기준 7467명으로 2년새 20%가량 늘었다. 넥슨이 지난해 인건비로 지출한 금액은 9983억 원으로 2018년의 5837억 원 대비 4년만에 2배 가까이 껑충 뛰었다. 엔씨소프트와 넷마블에 비해 안정적인 성장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넥슨은 올해도 인력 채용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지만 정체 양상을 보이고 있는 모바일·PC 게임 성장률을 감안하면 인력 충원 규모가 예전에 비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소프트웨어 개발자 부족으로 인한 인력 쟁탈전이 벌어지면서 인건비 부담이 크게 늘어난 상황에서 국내 게임사들은 채용규모 감축과 인력 재배치 등으로 ‘마른수건 쥐어짜기’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홍원준 엔씨소프트 최고재무책임자는 최근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비용 효율화 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인력 증가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며 임직원 증가율은 2020년 13%에서 2022년 2%로 낮아졌는데 올해 증가율 또한 이와 비슷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영식 넷마블 대표도 “올해 전반적으로 인력통제를 철저히 할 계획이며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올해 인력이 증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직된 국내 노동법규가 이 같은 게임업체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내 노동법은 정리해고 요건으로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 해고를 피하기 위한 노력, 합리적이고 공정한 해고 기준 정립 등이 필요하다고 규정한다. 몇 년 연속으로 영업손실을 기록하거나 대규모 퇴직위로금 지급 없이는 사실상 인위적 인력 감축이 불가능한 구조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5개월 사이에 2만1000명의 직원을 해고한다고 밝힌 메타를 비롯해 아마존과 구글 등 미국 빅테크들은 1만 명이 넘는 인력을 내보내면서 조직 슬림화에 나설 수 있지만 게임사를 비롯한 국내 기업들은 경영 환경 변화에 따라 대규모 구조조정을 하기 쉽지 않은 구조”라며 “엔씨소프트가 지난해 말 북미법인인 엔씨웨스트의 인력 20%가량을 내보낸 사례를 놓고 보면 결국 국내 노동법 규제를 받지 않는 해외법인을 중심으로 인력 감축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chopin@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만 여행서 여친 숨지자 짐부터 한국 보낸 남친…'죽였냐' 묻자 '침묵'
- 명예교수님이?…서울대 구내식당서 시비 붙은 학생 폭행 혐의 입건
- '수도권 120㎜ 퍼붓는다'…어린이날 연휴 전국 '비폭탄'
- 日 유명 개그맨, 망원시장서 '위생 테러'…침 묻은 꼬치로 닭강정 쿡
- '아줌마!' 부르다 살인난다…여성 분노케 하는 '그 말' [이슈, 풀어주리]
- '돈 맡겨, 아주 종교야' 임창정…美골프장 계약에도 동행 의혹
- '해외직구 결제 639,900원 결제'…보이스피싱 그놈 '미끼'였다
- 아내 살해 후 한 살 딸과 투신…일가족 3명 사망
- 인터넷 중고 거래 주의보…20대 사기범에 167명 당했다
- '중학생 시조카 어린이날 선물 챙기라는 시누이…이게 맞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