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감산 나쁘지 않다"…사우디 비판 수위조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은 생각만큼 나쁘지 않을 것."
OPEC+가 하루 117만 배럴 규모의 감산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한 데 대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같이 말했다.
OPEC+의 감산이 미국에 대한 사우디아라비아의 도발이란 점을 감안하면 바이든 대통령의 반응은 뜻밖이라는 평가다.
감산이 유가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데다 사우디와의 관계 재정립을 위해 미국이 비판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우디, 최근 잇단 친중 행보에
美내부서 관계 개선 목소리 커져
월가 "감산 영향 제한적" 분석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은 생각만큼 나쁘지 않을 것.”
OPEC+가 하루 117만 배럴 규모의 감산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한 데 대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같이 말했다. 3일(현지시간) 미네소타주의 한 에너지회사를 방문한 자리에서다. OPEC+의 감산이 미국에 대한 사우디아라비아의 도발이란 점을 감안하면 바이든 대통령의 반응은 뜻밖이라는 평가다. 감산이 유가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데다 사우디와의 관계 재정립을 위해 미국이 비판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달라진 중동 정세 의식한 듯
이날 나온 백악관의 공식 입장도 예상보다 온건했다. 존 커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대변인은 “(우리는) 감산 결정을 미리 통지받았다”며 “사우디아라비아는 지난 80년간 그랬던 것처럼 여전히 미국의 전략적 파트너”라고 밝혔다.
OPEC+의 감산 조치에 대한 백악관의 반응은 지난해와는 다른 모습이다. 지난해 7월 바이든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해 원유 증산을 요청했다. OPEC과 비회원 산유국 협의체인 OPEC+는 이를 비웃듯이 지난해 10월 하루 200만 배럴 감산을 결정했다. 뒤통수를 맞은 미국은 즉각 반발했다.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을 비롯해 바이든 대통령은 ‘후과’를 경고한 바 있다.
미국의 태도가 달라진 배경엔 중동의 지정학적 변화가 있다. 최근 사우디는 중국과 밀착하며 독자 노선을 강화했다. 중국이 중동지역에서 영향력을 키우자 미국이 사우디와의 공생관계를 다시 강화하려 나섰다는 분석이다.
미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의 샤디 하미드 교수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는 자국 안보 문제에 대해 미국의 관심을 다시 끌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도 (사우디에) 분노할 일이 있었지만 어떤 식으로든 보복하지 않는 등 양국이 균형점을 찾고 있다”고 분석했다.
월가에서도 OPEC+의 이번 감산 결정으로 국제 유가가 크게 오르진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씨티그룹은 “유가가 단기적으로 급등하는 건 불가피하겠지만 원유시장이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약하다는 깨달음이 뒤따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 등 선진국의 실물경기 둔화로 원유에 대한 수요가 약해 유가 상승세가 오래가진 못할 것이란 얘기다.
실제로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원유(WTI) 5월물은 개장 직후 8% 치솟았지만 소폭 하락하며 마감했다. 4일에는 전장 대비 0.51% 상승하는 데 그쳤다.
배럴당 100달러까지 뛴다
유가를 두고 비관적인 전망도 잇따른다.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까지 뛸 것이란 관측이다.
스위스 투자은행(IB)인 UBS는 “오는 6월까지 브렌트유가 배럴당 100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한다”고 했다. UBS는 유가 상승 이유로 △중국의 원유 수입 증가 △은행 위기 완화로 불확실성 제거 △제한적인 러시아 원유 생산 등을 꼽았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도 연말까지 브렌트유가 배럴당 최대 25달러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사우디가 유가 방어에 주력하는 것도 상승 요인 중 하나다. 세인트루이스연방은행이 사우디의 재정 손익분기점을 유가로 환산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손익분기점은 배럴당 66.76달러로 추정됐다. 국제 유가가 66달러 밑으로 떨어지게 되면 사우디 예산은 적자로 전환한다는 뜻이다. 사우디는 무함마드 왕세자의 개혁 프로젝트인 ‘비전 2030’을 추진하기 위한 대규모 재원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광객 많이 다니는데…"삼성 아작내자" 흉물 현수막에 골병
- 제2의 'SM엔터' 될 기세…'경영권 분쟁'에 주가 급등한 회사
- 코스피 상장사 작년 영업익 15% 줄어…올해도 실적개선 난항
- [단독] "30만원 쏜다"…'구 신사임당' 주언규 사칭주의보
- "마네킹 같은 게 있다" 신고…현장 가보니 옷 벗은 男 시신
- '106세' 역대 최고령…'보그' 표지 장식한 할머니 정체는?
- [종합] '9억 빚 청산' 백일섭 "73살에 졸혼 선언, 가방 하나만 들고 나와" ('회장님네')
- 초유의 쇼호스트 퇴출…정윤정 출연금지 초강수 둔 이유는
- [종합] 아이유, 콜 포비아 고백 “엄마, 유인나랑 통화하는 거 힘들어”
- 손님 나간 지 5초 만에 '폭발'…빨래방에 무슨 일이?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