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현장] 세상을 품는 집, 어떤 상태인가?…'House Mind'

이주상 기자 2023. 4. 4. 12: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집은 안식과 위안의 공간이죠.

그런데 미국의 작가 테일러 화이트는 다양한 집의 형태와 집들이 처해있는 위태로운 현실에 주목합니다.

뜨거운 태양의 열기가 외부를 둘러싸고 있지만 검게 칠해진 집 안에는 다양한 요소들이 개념화돼 자신만의 형태로 침잠해 있습니다.

위태로워 보이는 집을 통해 집의 본질은 안식과 위안이라는 점을 역설적으로 강조하는 것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FunFun 문화현장]

<앵커>

집은 안식과 위안의 공간이죠. 그런데 미국의 작가 테일러 화이트는 다양한 집의 형태와 집들이 처해있는 위태로운 현실에 주목합니다.

문화현장, 이주상 기자입니다.

<기자>

[House Mind / 29일까지 / G 갤러리]

커튼 달린 창과 지붕 위의 굴뚝, 노란 바탕에 검은 목탄으로 화면을 가득 채운 집은 아름답고 편안한 이야기보다는 잔혹 동화가 펼쳐질 것 같은 분위기입니다.

뜨거운 태양의 열기가 외부를 둘러싸고 있지만 검게 칠해진 집 안에는 다양한 요소들이 개념화돼 자신만의 형태로 침잠해 있습니다.

집은 세상을 품고 있는 소우주입니다.

[테일러 화이트/작가 :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세상이나 우리 삶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돌아볼 수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렇기에 집은 세상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위태롭게 뒤틀린 채로 휘어 있기도 하고, 붉은 화염에 휩싸여 있기도 합니다.

집의 숙명인데, 그렇다고 뿌리가 흔들리지는 않습니다.

[테일러 화이트/작가 : 태풍이나 화재처럼 예상하지 못했던 재난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겠지만, 굳건히 뿌리를 박은 채 똑바로 서 있으려고 애씁니다.]

위태로워 보이는 집을 통해 집의 본질은 안식과 위안이라는 점을 역설적으로 강조하는 것입니다.

[테일러 화이트/작가 : 관객들은 모두 각자 자신만의 경험을 토대로 작품을 바라볼 것입니다. 작품은 서로 다른 기억을 연결하는 매개체입니다.]

캔버스 천의 콜라주나 목탄과 오일 파스텔 등 집의 다양한 형태만큼 재료들에 대한 실험도 다채롭습니다.

우리의 소우주, 우리의 집은 지금 어떤 상태인지 생각해보게 해줍니다.

(VJ :오세관)

이주상 기자joosang@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