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이모티콘 이용이 공동체 의식 높인다”

신동원 2023. 4. 2. 20: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기표현을 중시하는 MZ세대 대학생들은 소속 대학 총장 캐릭터를 활용한 이모티콘 사용으로 공동체 의식을 높일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2일 가천대에 따르면 최근 한국문화산업학회 학술저널인 문화산업연구 3월호에 게재된 '문화산업 콘텐츠로서의 이모티콘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논문에서 가천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이장석 교수는 대학총장 캐릭터 이모티콘 이용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천대 이장석 교수, 총장 캐릭터 이모티콘 효과 분석
가천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이장석 교수가 대학총장 캐릭터 이모티콘 이용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했다. 사진은 이길여 총장 캐릭터 이모티콘. 가천대 제공

자기표현을 중시하는 MZ세대 대학생들은 소속 대학 총장 캐릭터를 활용한 이모티콘 사용으로 공동체 의식을 높일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2일 가천대에 따르면 최근 한국문화산업학회 학술저널인 문화산업연구 3월호에 게재된 ‘문화산업 콘텐츠로서의 이모티콘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논문에서 가천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이장석 교수는 대학총장 캐릭터 이모티콘 이용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했다.

이 교수는 음성 통화보다는 메신저를 선호하며, 다른 세대에 비해 이모티콘 활용 비중이 높은 MZ세대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에 주목했다.

그는 가천대가 무료 배포한 이길여 총장 캐릭터 이모티콘(16종)을 온라인 대화에 사용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작년 12월~올 1월 학교 공식 SNS 계정을 통해 설문을 진행,286명(남성 113명·여성 173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했다.

응답자 연령층은 20대(203명·71%), 10대(70명·24.5%), 30대 이상(13명·4.5%) 순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3.09세였다.

응답자는 재학생 92.0%(263명), 일반인 4.2%(12명), 교직원 3.9%(11명) 순으로 대부분 10~20대 재학생이었다.

연구 결과, 대학총장 이모티콘을 이용하는 것이 재밌고 즐겁다고 여길수록, 자신의 감정이나 정체성을 잘 드러낼수록,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만든다고 여길수록 이용 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는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용자들이 총장 캐릭터 이모티콘을 온라인 대화에 이용하면서 의사소통을 더 원활히 하고 그 과정에서 재미를 느낄 뿐 아니라 자신의 정체성을 더 잘 드러낸다고 여기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이 교수는 설명했다.

이 교수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카카오의 ‘카카오프렌즈’나 네이버의 ‘라인프렌즈’같은 허구의 캐릭터 효과에 집중해왔지만,이번 연구는 인지도가 높은 이길여 총장이라는 실제 인물을 캐릭터로 만든 이모티콘의 효과를 밝혔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된다”고 말했다.

그는 “일반 대학 총장 중 이길여 총장을 제외하고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인물이 거의 전무하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대학교육 현장에서 총장의 역할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동체 의식을 높이려는 일반 기업의 CEO들에게도 현실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신동원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