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선 운항 90% 회복되나

임은수 기자 2023. 4. 2. 19: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봄철 수요 증가 대비 제주노선 공급 확대
국제선 운항확대 주요 내용. 자료=국토교통부 제공


올해 9월까지 국제선 운항횟수를 코로나 이전인 2019년의 90% 수준까지 회복하겠다는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내수활성화 대책'에 따른 후속조치로 오는 9월 국제선 정기편을 204개 노선에서 주 4075회 운항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특히 일본과 중국 노선의 정상화를 중점 지원해 정기편은 올해 9월까지 코로나 이전 대비 일본 노선은 92%, 중국 노선은 87% 조기 회복될 전망이다.

운항이 중단되었던 인천-프라하, 인천-취리히, 인천- 마드리드, 김해-가오슝의 운항이 재개되고, 인천-뉴왁, 김포-베이징(다싱) 노선이 신규로 취항해 국민들의 선택권이 확대된다.

일본·중국 주요 노선인 인천공항 출발 나리타(주144회→168회), 오사카(주143회→168회), 상하이(주2회→88회), 칭다오(주12.5회→137회) 등이 증편되고, 김해-베이징, 대구-상하이, 청주-오사카, 무안-상하이 등 지방공항 출발 노선도 운항을 재개한다.

이러한 운항 증가로 코로나이전 대비 동북아 노선은 89%, 동남아 노선은 91%(베트남 97%, 필리핀 94%, 태국 84%), 미주 노선은 92%(미국 92%, 캐나다 103%), 유럽 노선은 97%(독일 119%, 프랑스 95%, 영국 67%*) 회복이 예상된다.

또 지역별 항공수요 회복에 따라 항공사가 임시 증편을 신청할 경우, 적극 허가해 충분한 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국제선 정기편 90% 수준 회복을 전망하는 가운데, 조기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지방공항 취항을 적극 지원하고, 인천공항 환승여객 유치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지방공항은 기존 정기편 뿐만 아니라 부정기 항공편까지 취항에 따른 혜택(인센티브)을 확대 지원해 방한수요의 신속 회복 등 지역 내수경제 활성화를 추진한다.

한국공항공사는 5개 지역 국제공항(김해·대구·무안·양양·청주) 취항 부정기편에 대해, 외국인 탑승비율이 50% 이상인 경우 각 공항별로 항공사당 최대 16편까지 한시적(5월-11월)으로 착륙료를 면제한다.

이와 함께 각 지자체(강원·대구·부산·전남·충북)에서도 신규노선 운항지원, 일정 탑승률 미만 시 손실지원 등 부정기 항공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내수활성화 대책'에 따른 3종 환승 무비자제도 복원(5월)에 맞춰 인천공항 환승여객을 늘리는 등 국제선 증편을 적극 유도해 나간다.

인천공항 환승여객 수는 2019년 840만명→2020년 200만명 →2021년 53만명 →2022년)279만명→2023년 목표 600만명 이상이다.

환승여객의 환승시간, 여행형태 등을 고려해 기간별(1-3일), 지역별로 다양한 환승투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현지 로드쇼, 할인권 제공 등 프로모션으로 미국·중국·동남아 등 단기 체류 환승 관광객 유치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항공사들의 국제선 증편에 따라 국내선 정기편 운항은 일부 감소해 코로나 이전 운항횟수 수준(주 1881회)으로 운항할 계획이며 4월 봄철 여행객 증가에 대비하여 제주-김포·김해·대구·청주와 김포-김해 등 수요가 많은 5개 노선에는 주 113회 임시 증편해 공급석을 대폭 확대하는 한편, 모든 지방공항에서도 제주행 정기노선이 안정적으로 운항할 수 있도록 제주공항 슬롯도 지방 노선에 안배했다.

또한 지난해 9월 국제선 환승객 전용으로 인천-김해 직항 노선이 운항을 재개했고, 23일부터는 인천-대구 노선이 추가되면서 지방에서 인천공항을 통해 해외로 이동하는 이용객의 편의성도 크게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국 항공정책관은 "국제선 회복기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지상조업 부족 문제 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민·관합동 항공회복지원단을 구성해 원활한 회복을 적극 관리할 계획"이라면서 "국제선 확대가 외국인 입국 확대 등 내수 진작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방안도 지자체 등과 함께 추진해 나가는 한편, 지방 국제노선 확충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편의성 증대에도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