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서 당한다고 누가 그래”…바가지 요금에 상춘객 ‘부글부글’

이상현 매경닷컴 기자(lee.sanghyun@mkinternet.com) 2023. 4. 2. 13: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음식·숙박에 과다한 비용 청구
“제주처럼 되지 말란 법 없어”
국내 최대 봄꽃 축제인 ‘진해군항제’가 열린 지난달 30일 오후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화역 공원에서 관광객이 봄기운을 만끽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내 대표 벚꽃 축제인 진해 군항제에서 일부 음식점이 ‘바가지 요금’을 받았다는 논란이 커지자 주관사가 공식 사과했다. 엔데믹에 접어들면서 각종 행사가 수년 만에 속속 재개되고 있지만, 찬물을 끼얹는 사례가 잇따라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진해군항제를 주관하는 이충무공선양군항제위원회는 지난달 30일 입장문을 내고 최근 논란이 된 바가지 요금 사례에 대해 “비싼 가격과 질 낮은 음식 수준을 비판하는 목소리에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영업점들을 대상으로 철저히 지도, 감독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말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군항제에 다녀온 소비자들이 음식의 수준과 가격을 지적하는 글이 잇따랐다. 통상적으로 시중에서 판매하는 음식보다 양이 적으면서도 훨씬 비싼 가격에 판매됐다는 것이다.

누리꾼들이 공유한 메뉴판 사진에는 통돼지바베큐 5만원, 삼겹·쪽갈비 5만원, 고래고기 소(小) 6만원·대(大) 8만원, 해물파전 2만원, 꼼장어 3만원, 순대야채볶음 3만원, 꼬치어묵 1만원 등 한 향토음식관의 가격이 적혀있었다.

원글을 쓴 이는 “거의 다 가격은 동일한 걸로 알고 있다”며 “통돼지바베큐와 해물파전을 주문했다. 충격적인 비주얼”이라고 적었다. 글쓴이가 공개한 사진에는 양배추 위에 2인분이 채 되어 보이지 않는 양의 고기가 얹어져 있었다. 파전 역시 양이 넉넉하지 않은 모습이었다.

가족과 군항제를 방문했다는 한 20대 소비자는 “초등학교 때 기억이 나서 솜사탕을 사 먹으려고 보니 7000원을 받더라. 물가가 아무리 올랐어도 7000원은 아니라고 생각해 사 먹지 않았다”고 말했다.

진해 군항제를 방문한 한 소비자가 공개한 음식과 메뉴판 사진. 돼지고기는 5만원이고, 파전은 2만원이다. [사진 출처 = 네이버 블로그 게시물 캡처]
국내 주요 여행지와 관광명소가 바가지 요금 논란에 휩싸인 게 처음은 아니다. 부산의 경우 불꽃축제가 예정됐던 지난해 12월 초 일부 숙박업소가 과다한 요금을 책정해 논란이 됐다. 관할 관공서에도 수십건의 관련 민원이 쏟아졌을 정도다.

당시 한 숙박업소는 10만원대 초중반이 통상적인 주말 투숙 가격임에도 불꽃축제 당일(2022년 12월 17일) 1박 비용을 80만원에 책정하기도 했다. 숙소 측은 그러면서 “정가 160만원에서 50% 할인 중”이라고 안내했다.

최근 들어서는 ‘광양 매화축제’ 등이 이뤄진 전남 일대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난 것으로 알려졌다. 역대 최대 규모인 122만명의 상춘객이 방문했으나, 음식값과 숙박비가 과다해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은 것.

또 오는 10월에는 전남 목포에서 제104회 전국체육대회 등도 열릴 예정이어서 선수단을 비롯한 외지인들을 대상으로 폭리를 취할 수 있단 우려도 나온다. 시를 비롯한 관계부처가 합동단속에 나서도 지역사회의 자정이 없으면 소비자들이 피해를 보기 쉬운 구조다.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관광지 등에) 어느 정도는 예상하고 가지 않느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엄연히 피해자가 발생하는 불공정 상행위”라며 “숙박업소의 경우 플랫폼 차원에서 자제해달라 요청할 수 있지만, 식음료는 사실상 제재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외여행 수요가 살아난 이후 제주도가 외면받고 있다. 이같은 양상이 부산이나 동해, 서해 등 다른 지역에도 나타나지 말란 법은 없다”며 “지자체와 지역사회가 모두 경각심을 가져야 장기적으로 지역 홍보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