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독성 위험 경화과정 없앤 인공장기용 바이오잉크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포 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경화 과정 없이 온도 조절만으로 인공 조직용 구조체를 만들 수 바이오프린팅 잉크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송수창 생체재료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온도조절만으로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도하고, 조직 재생을 유도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생분해되는 바이오 잉크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세포 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경화 과정 없이 온도 조절만으로 인공 조직용 구조체를 만들 수 바이오프린팅 잉크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송수창 생체재료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온도조절만으로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도하고, 조직 재생을 유도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생분해되는 바이오 잉크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바이오 잉크는 세포와 생체재료를 사용해 3차원(3D) 인공조직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재료로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에 활용된다.
바이오 잉크를 출력해 3D 지지체를 만들고 여기에 배양 세포를 넣어 인공 조직을 만드는데, 지지체를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화학적 가교제를 넣고 자외선을 가하는 '광경화' 과정이 세포 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저온에선 액상 형태로 존재하면서 체온에선 단단한 젤로 변화하는 온도 감응성 폴리포스파젠 하이드로젤을 이용해 광경화 과정을 없앤 잉크를 개발했다.
이 물질은 조직 재생에 도움을 주는 단백질인 성장 인자를 오래 보존할 수 있는 장점도 가졌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뼈 재생 성장인자와 개발한 바이오 잉크를 섞어 출력한 3차원 지지체를 쥐의 뼈 손상 부위에 이식한 결과 뼈가 정상 조직 수준으로 재생됐고, 이식된 지지체는 체내에서 42일에 걸쳐 서서히 생분해됐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한 바이오 잉크는 지난해 6월 바이오벤처 '넥스젤바이오텍'에 기술이전 해 골이식재 등 제품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송 책임연구원은 "잉크 자체 물리적 특성을 달리해 뼈조직 외에 다른 조직의 재생에도 적용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최종적으로는 부위별 조직 및 장기 맞춤형 바이오 잉크를 제품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최신 호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shj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등교하던 여중생 둔기로 살해하려 한 고교생 2심서 형량 늘어 | 연합뉴스
- [팩트체크] "세계 6위 강대국 한국"…진짜인가 허상인가 | 연합뉴스
- 덤프트럭서 빠진 바퀴 버스정류장 덮쳐…여고생 46일째 의식불명 | 연합뉴스
- 거제서 군인 포함 20대 3명, 식당 개에 비비탄 난사…1마리 숨져 | 연합뉴스
- '사생활 논란' 주학년 "술자리 동석했지만…불법행위 없었다" | 연합뉴스
- 장난감자석 33개 삼킨 23개월생…건양대병원 긴급수술, 건강회복 | 연합뉴스
- 차량 화재에 소화기들고 달려간 인근 카페직원들…"영웅 같았다" | 연합뉴스
- 귓속말하다 부릅뜬 눈…마크롱-伊총리 멜로니, 또 불화설? | 연합뉴스
- '훈련병 얼차려 사망' 지휘관 형량가중…"후진적 병영문화 답습"(종합) | 연합뉴스
- 오피스텔서 추락한 웰시코기 "학대 흔적 없어"…내사종결 예정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