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에도 '2% 성장' 어렵다"…'상저하저' 현실 되나 [강진규의 데이터너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한국 경제가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1%대 저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반기 성장률을 1%대로 제시한 것은 주요 기관 중 처음이다.
하반기 성장률을 2%대 밑으로 제시한 것은 주요 기관 중 처음이다.
예정처는 "상반기에는 성장이 정체되겠으나, 하반기에는 중국경제 재개방 및 세계경기 회복에 힘입어 성장률이 반등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반등의 폭은 미미하다고 본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한국 경제가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1%대 저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반기 성장률을 1%대로 제시한 것은 주요 기관 중 처음이다. 상반기에 침체하다 하반기 반등할 것이란 주요 기관의 '상저하고' 전망이 반등하더라도 침체 수준인 '상저하저'로 이동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하반기도 1%대 성장
2일 예정처는 2023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5%로 낮췄다. 작년 10월 발표 후 5개월만에 0.6%포인트 하향했다. 반기별 성장률은 상반기 1.2%, 하반기 1.8%로 내다봤다.
1.5%라는 전망치는 국내외 주요 기관의 성장률 전망보다 낮은 것이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경제개발협력기구(OECD)는 한국이 올해 1.6%를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월 1.7%,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2월 1.8%를 제시했다.
예정처가 성장률 전망을 낮춘 것은 경기 둔화가 예상보다 빨라 투자가 크게 감소할 것으로 봐서다. 설비투자는 -1.3%로 역성장할 것으로 봤다. 경기둔화 가능성과 반도체 업황 둔화 현황 등을 반영해 기존 1.2%에서 2.5%포인트 낮췄다. 0.4% 증가할 것으로 봤던 건설투자도 -1.0% 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소비도 긴축 등을 반영해 성장률을 0.7%포인트 낮춰 3.3%로 제시했다. 다만 민간 소비는 기존 전망치(2.4%)를 유지했다.
하반기 성장률을 2%대 밑으로 제시한 것은 주요 기관 중 처음이다. 한은과 KDI가 지난 2월 올 하반기 성장률을 각각 2.0%, 2.4%로 전망한 것에 비해 0.2~0.6%포인트 낮다. 예정처는 “상반기에는 성장이 정체되겠으나, 하반기에는 중국경제 재개방 및 세계경기 회복에 힘입어 성장률이 반등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반등의 폭은 미미하다고 본 것이다.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기존의 기대만큼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현실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는 한국의 잠재성장률 수준이다. 하반기 우리 경제가 잠재성장률만큼도 성장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사실상 상반기와 하반기 모두 저성장하는 '상저하저'가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
물가는 3.5% 오를 것
예정처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간 3.5%로 전망했다. 정부, 한은, KDI 등과 동일한 수치다. 상반기에는 전년과 비슷한 4.1% 상승하겠지만 하반기 국제원자재가격 안정화 및 전년도 고물가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인해 3.0%로 상승폭이 축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취업자수는 전년대비 14만7000명(0.5%)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 취업자수 증가폭(81만6000명)의 약 18% 수준이다. 다만 정부가 경제정책방향에서 예상한 취업자 증가폭(10만명)보다는 많다. 고용증가세 둔화 이유로는 "경제성장 둔화 때문"이라고 설명했따.
올해 경상수지는 200억 달러 흑자를 전망했다. 상반기 38억달러 적자에서 하반기 237억달러 흑자로 전환할 것이란 예측이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s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000만원 시골 아파트 왜 사냐?" 핀잔…"이젠 용돈 벌어주죠" [방준식의 N잡 시대]
- "중고 내놔도 안 팔려요"…당근마켓 거래도 꺼리는 이유 [신현보의 딥데이터]
- "집값 반등했다고 '갭투자'?…2년 뒤 터질 폭탄일 뿐" [이송렬의 우주인]
- "아재들 운동인 줄 알았는데"…'이것' 열풍에 2030 공략 나섰다
- 尹 '깜짝 시구'…김여사와 함께 신은 운동화의 '놀라운 가격'
- 장동건♥고소영 아들, 중1 되더니 母 키 넘었나…아빠 촬영장 방문
- 채정안, 50대 앞둔 왕언니 맞아? 도트무늬 비키니 자태가 황홀
- '초보 운전' 아이유, 한문철 변호사가 익숙한 이유 "'한블리' 매주 챙겨봐"('이지금')
- '1살 연상♥' 나비, 1박 60만원대 P사 호텔 갔는데…몸빼바지에 크록스 신고 좌절
- 하늘에서 '돈'이 내린다면…아르헨티나인도 놀란 '반전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