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인식 오류로 절도범 누명쓴 美남성···AI 위험 현실화되나

정혜진 기자 2023. 4. 1. 16: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안면인식 기술의 오류로 경찰이 무고한 한 남성을 절도범으로 체포하는 일이 발생했다.

뉴욕타임스(NYT)는 31일(현지 시간) 조지아주(州) 주민 랜들 리드(29)가 지난해 11월 애틀랜타에 있는 부모님 집으로 운전하던 중 고속도로 한복판에서 경찰에 체포됐다고 보도했다.

당시 경찰은 상점 내 감시카메라에 찍힌 범인의 얼굴을 안면인식 기술로 분석해 리드를 유력한 용의자로 특정한 상황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범죄자 추적 위한 기술이 오히려 희생자 만들어"
[서울경제]

미국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안면인식 기술의 오류로 경찰이 무고한 한 남성을 절도범으로 체포하는 일이 발생했다.

뉴욕타임스(NYT)는 31일(현지 시간) 조지아주(州) 주민 랜들 리드(29)가 지난해 11월 애틀랜타에 있는 부모님 집으로 운전하던 중 고속도로 한복판에서 경찰에 체포됐다고 보도했다. 리드의 차를 멈춰 세우고 수갑을 채운 경찰은 그가 지난 여름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한 상점에서 훔친 신용카드로 1만 3000달러(약 1703만 원) 상당의 명품 지갑과 가방을 구입했다는 혐의를 제시했다.

당시 경찰은 상점 내 감시카메라에 찍힌 범인의 얼굴을 안면인식 기술로 분석해 리드를 유력한 용의자로 특정한 상황이었다. 안면인식 알고리즘은 페이스북, 링크드인 등에 올려진 리드의 사진과 감시카메라 속 범인의 모습이 유사하다고 판단했다.

구치소에 갇힌 채 루이지애나 경찰에 인도되길 기다리던 리드는 변호사를 통해 절도 피해를 본 가게의 폐쇄회로(CC) TV 영상을 직접 확인하고서야 누명을 벗을 수 있었다. 영상에 찍힌 용의자는 그와 얼굴형은 비슷했지만 몸집이 커 동일인으로 보기 힘들었다. 경찰은 리드 측 변호사가 관련 자료를 제출한 지 불과 1시간여 만에 그를 석방하겠다고 밝혔다. 6일 만에 구치소에서 풀려난 리드는 "전혀 알지도 못하는 일로 갇혀 있었다"며 자신이 부당하게 체포된 데 대해 경찰 등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NYT는 이번 사건에 대해 “정확한 범죄자 추적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된 여러 기술이 오히려 잘못된 사람을 체포하도록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미국 안면인식 기술 업체 클리어뷰 AI 대표 호안 톤 댓 역시 “얼굴 인식 기술만을 기반으로 사람을 체포해선 안 된다”며 “이 기술은 어디까지나 보조적 역할을 하는데 머물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법기관의 안면인식 기술 오류로 미국에서는 유색인종이 상대적으로 더 큰 피해를 본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관련 전문가인 클레어 가비는 리드와 유사한 이유로 부당하게 체포된 사례 4건을 언급하며 피해자는 모두 흑인 남성이었다고 말했다.

정혜진 기자 sunset@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