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뉴스]북한, 마오쩌둥·지미 카터·체 게바라 만난 김일성 화보 발행

심만수 기자 2023. 4. 1. 11: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일성 주석 생일인 태양절(4월 15일) 111주년을 앞둔 1일 북한은 김 주석의 외교 성과를 선전하는 화보를 발간했다.

북한 외국문출판사가 운영하는 '조선의 출판물' 홈페이지는 대외선전용 화보 '조선' 4월호에서 '인류자주 위업, 사회주의 위업의 승리적 전진을 위하여' 제하 기사에 김 주석이 1958년 마오쩌둥(毛澤東)이나 1970년 저우언라이(周恩來), 1975년 덩샤오핑(鄧小平) 등 중국 지도자들을 만난 사진을 실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 주석이 1958년 11월 마오쩌둥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과 손을 맞잡은 모습. 북한 대외용 화보 ‘조선’ 4월호 캡처. 연합뉴스

김일성 주석 생일인 태양절(4월 15일) 111주년을 앞둔 1일 북한은 김 주석의 외교 성과를 선전하는 화보를 발간했다.

북한 외국문출판사가 운영하는 ‘조선의 출판물’ 홈페이지는 대외선전용 화보 ‘조선’ 4월호에서 ‘인류자주 위업, 사회주의 위업의 승리적 전진을 위하여’ 제하 기사에 김 주석이 1958년 마오쩌둥(毛澤東)이나 1970년 저우언라이(周恩來), 1975년 덩샤오핑(鄧小平) 등 중국 지도자들을 만난 사진을 실었다.

1970년 4월 김 주석과 저우언라이 전 중국 국무원 총리. 북한 대외용 화보 ‘조선’ 4월호 캡처. 연합뉴스
1975년 4월 덩샤오핑 중국 국무원 부총리와 만난 김 주석. 북한 대외용 화보 ‘조선’ 4월호 캡처. 연합뉴스

1958년 베트남 하노이를 찾아 호찌민 당시 베트남 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사진과, 1981년 프랑수아 미테랑 전 프랑스 대통령이 프랑스 사회당위원장 자격으로 방북해 만났던 사진, ‘쿠바혁명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체 게바라가 1960년 쿠바혁명정부 경제대표단 단장 자격으로 방북했던 모습도 게재했다.

1981년 2월 프랑수아 미테랑 당시 프랑스사회당 당수와 만난 김 주석. 북한 대외용 화보 ‘조선’ 4월호 캡처.연합뉴스
1958년 11월 호치민 베트남 주석과 만난 김 주석. 북한 대외용 화보 ‘조선’ 4월호 캡처. 연합뉴스
1960년 12월 체 게바라 쿠바공화국 혁명정부 경제다표단 단장과 만난 김 주석. 북한 대외용 화보 ‘조선’ 4월호 캡처.연합뉴스

이밖에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퇴임 뒤 1994년 미 전직 대통령으로는 최초로 북한을 방문한 장면, 가네마루 신(金丸信) 전 일본 자민당 부총재와 다나베 마코토(田邊誠) 전 일본 사회당(현 사민당) 위원장이 1990년 방북해 북일관계 진전에 족적을 남겼던 모습도 공개됐다. 소설 ‘생의 한가운데’로 유명한 독일 작가 루이제 린저가 평양을 찾아 김 주석과 환담했던 모습도 있었다.

1994년 6월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과 만난 김 주석.북한 대외용 화보 ‘조선’ 4월호 캡처.연합뉴스
1990년 9월 가네마루 신 전 일본 자민당 부총재, 다나베 마코토 전 일본 사회당(현 사민당) 위원장과 만난 김 주석. 북한 대외용 화보 ‘조선’ 4월호 캡처.연합뉴스
1985년 8월 독일 작가 루이제 린저와 만난 김 주석. 북한 대외용 화보 ‘조선’ 4월호 캡처.연합뉴스

북한은 김 주석 생일을 ‘최대의 명절’로 꼽는다. 매년 평양 한복판에서 수만 명의 군중을 동원해 대대적인 축제와 공연을 열고 평양국제마라톤이나 친선예술축전을 개최하기도 한다.

올해는 제8차 ‘4월의 봄 인민예술축전’이 오는 12∼18일 평양의 동평양대극장, 봉화예술극장 등에서 열린다.

심만수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