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 민족’ 흑자전환 하자마자 사상 최대 실적

박순찬 기자 2023. 4. 1. 03: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영업이익 4241억원 기록

국내 1위 배달 주문 앱 ‘배달의민족’이 지난해 4000억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다. 경쟁 서비스인 쿠팡이츠와 ‘단건 배달’ 시장 장악을 위한 출혈 경쟁을 벌이면서 적자에 빠진 지 3년 만이다.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은 지난해 매출 2조9471억원, 영업이익 4241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대비 47% 증가했고, 전년 757억원이었던 영업손실도 흑자 전환했다.

배달의민족이 흑자로 돌아선 것은 지난 3년여간 지속된 ‘코로나 팬데믹(대유행)’ 효과가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외식 대신 집에서 배달해 먹는 수요가 크게 늘면서 입점 식당 수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배민에 입점한 식당 수는 2019년 말 13만6000여 곳에서 작년 말 기준 30만여 곳이 돼 2배 이상으로 늘었다. 주문 건수 역시 2019년 4억건에서 지난해 11억1100만건이 돼 거의 3배 수준으로 늘었다. 하루 평균 300만건의 음식 배달 주문이 쏟아진 셈이다. 우아한형제들 관계자는 “코로나 3년간 주문과 거래액이 나란히 3배씩 늘었다”고 했다.

배달의민족의 주수입원은 식당을 앱에서 좋은 위치에 노출시켜주는 광고비와 주문을 연결해줄 때마다 받는 주문 중개 수수료다. 입점 식당과 주문이 늘면서 실적이 빠르게 개선된 것이다.

시장 장악을 위해 단건 배달료를 깎아주는 프로모션을 10개월간 장기 진행해오다 이를 중단한 것도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됐다. 회사 관계자는 “프로모션이 종료됐지만 단건 배달 수요는 꾸준히 유지되며, 현재 전체 음식 주문의 15%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다”고 말했다.

1위 서비스인 만큼 코로나 효과가 사라지는 소위 ‘엔데믹’ 여파도 상대적으로 적게 받았다. 배달의민족 월 순이용자(MAU)는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 직전인 작년 4월 2082만명에서 8월 2067만명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다만 배달 앱 흑자의 이면에는 코로나로 배달비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음식을 주문하는 소비자뿐 아니라 영세 자영업자들의 고통 역시 심해지는 현실이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