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독일 휩쓸었던 공포…나치의 차분한 열광 등 분석

정진수 2023. 4. 1. 01: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치사, 경제사, 혹은 문화사라는 말은 들었지만 '감정사'라는 말은 아직 사람들에게 많이 낯설다.

책은 16세기 독일을 휩쓴 공포를 보여주기 위해 마르틴 루터의 '소교리문답'을, 17세기 분노를 설명하기 위해 '스웨덴 백작 부인의 G의 삶' 등 감성주의 소설을, 19세기 노동이 징벌에서 '기쁨'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지멘스 창업자 회고록'을, 나치시대 독일인의 차분한 열광을 입증하기 위해 코믹소설 '가스검침관' 등 다채롭고 풍성한 사료를 제시·인용하며 감정사를 풀어놓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감정의 역사/김학이/푸른역사/2만9500원 

정치사, 경제사, 혹은 문화사라는 말은 들었지만 ‘감정사’라는 말은 아직 사람들에게 많이 낯설다. 서양 학계에서도 2000년대 들어서야 본격 연구되기 시작한 신생 분야다.

역사학자로 나치즘 연구에 몰두해왔던 저자는 감정사를 “특정한 상황에 처한 인간에게 발동하는 신체적·정신적 격동으로서의 감정이 정치와 경제와 사회의 산물이 아니라 고유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구성물로서, 정치와 사회를 규정하는 고유한 힘을 발휘한다고 전제하는 역사학”(8쪽)이라고 정의한다.
김학이/푸른역사/2만9500원 
감정이 가진 ‘독자적인 행위 능력’의 예를 들어보자. 프랑스혁명 시기, 광장에는 유혈이 낭자한 ‘단두대 공개처형’이 만연했다. 그러나 불과 한 세기 만에 서유럽에서 이런 공개처형은 거의 소멸했다. 사형장은 교도소 뒷마당으로 이동했다. 이는 폭력과 피에 대한 역겨움이, 그 감정이 행동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감정이 역사를 갖는 이유는 감정이 욕망과 규범 사이에서 인간이 느끼는 격동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보통 그가 마주한 상황이 정당치 않았을 때 분노한다. 규범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만큼 규범과 얽혀 있는 감정도 변하고, 이를 통해 시대의 가치와 그 변화를 마주할 수 있다.

그렇게 감정은 시대에 따라 중요성과 의미가 크게 달라진다. 공포는 16세기에는 종교개혁에서 신을 만나는 통로였으나 19세기 호러문학에서는 미적 쾌감의 수단이 됐다. 분노는 중세부터 16세기까지는 신과 권력자만 가질 수 있는 감정이었지만, 18세기에는 일반인이 자기 정당성을 주장하는 이유가 됐다. 행복 역시 원래는 시민이 공적 활동에서 느끼는 감정이었다가 1820∼1830년 이후에는 사적인 감정의 영역이 됐다.

책은 16세기 독일을 휩쓴 공포를 보여주기 위해 마르틴 루터의 ‘소교리문답’을, 17세기 분노를 설명하기 위해 ‘스웨덴 백작 부인의 G의 삶’ 등 감성주의 소설을, 19세기 노동이 징벌에서 ‘기쁨’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지멘스 창업자 회고록’을, 나치시대 독일인의 차분한 열광을 입증하기 위해 코믹소설 ‘가스검침관’ 등 다채롭고 풍성한 사료를 제시·인용하며 감정사를 풀어놓는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