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기·가스료 인상 보류, 언제까지 ‘폭탄 돌리기’ 할 건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와 국민의힘이 어제 당정협의회에서 2분기 전기·가스 요금 인상을 잠정 보류했다.
2분기 전기·가스 요금 결정 마지노선인 이날까지 최종 인상 여부 및 인상폭을 확정하지 못하면서 당분간 1분기 요금인 ㎾h(킬로와트시)당 146원이 그대로 적용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겨울 '난방비 대란'이 일어나자 1분기 가스요금은 동결했지만 올해 가스요금을 지난해 인상분의 1.9배인 MJ(메가줄)당 10.4원 인상하는 안을 국회에 제출한 상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 정부 탈원전·포퓰리즘 후과
한전·가스공사 구조조정 시급
여론 수렴을 내세웠지만 실상은 윤석열 대통령과 여당 지지율이 급락하는 상황에서 에너지 요금 인상에 부담을 느꼈을 것이다. 공청회 등 여론 수렴을 거치더라도 국민들이 요금 인상을 반길 리 없다. 여름철 전력소비량이 급증하는 3분기가 되면 내년 총선을 의식해 요금 인상 자체가 더 어려워질 게 뻔하다. 언제까지 ‘폭탄 돌리기’를 답습할 건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에너지 요금을 무턱대고 올리라는 게 아니다. 밑지고 판다는 건 경제원리와 맞지 않는다. 국민부담 최소화를 내세웠지만 현 상황에서 요금 인상말고는 대안이 없다. 공기업 적자는 어차피 혈세로 메워야 한다. 엎치나 메치나 국민 호주머니를 터는 건 마찬가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겨울 ‘난방비 대란’이 일어나자 1분기 가스요금은 동결했지만 올해 가스요금을 지난해 인상분의 1.9배인 MJ(메가줄)당 10.4원 인상하는 안을 국회에 제출한 상태다. 문재인정부 시절 탈원전 정책으로 발전단가가 높은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늘린 데 따른 후과다. 설계수명이 남아 있는 멀쩡한 고리 2호기 원전을 2년간 세워놓는 것도 모자라 태양광 설비를 마구 늘리는 바람에 송배전망이 감당하지 못해 태양광 발전을 강제로 줄여야 할 처지다. 기가 찰 노릇이다.
이런데도 에너지 공기업 적자의 책임이 큰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대표는 전기·가스 요금 인상 계획 전면 재검토를 외친다. 문재인정부 실정에 대한 반성은커녕 정략적 선동만 일삼고 있으니 답답할 따름이다. 자신들의 탈원전과 에너지 포퓰리즘의 피해를 고스란히 국민들이 보고 있는데도 이렇게 뻔뻔할 수가 있나. 정부는 전기·가스 요금 인상 시 우려되는 물가충격을 최소화하고 취약계층의 고충을 보듬을 대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해 놓아야 한다. 빚더미에 앉은 한전·가스공사 임직원은 염치없는 급여 인상을 접고 뼈를 깎는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 국민도 에너지 과소비에 젖어 있는지 되돌아보고 절약에 적극 나서길 바란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