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엔 분노, 오늘날엔 공감·혐오…시대별 다른 감정 표출[책과 삶]
감정의 역사
김학이 지음
푸른역사 | 528쪽 | 2만9500원
이순신은 <난중일기> 초입 15개월간 무려 38회 “분노”한다. 숱한 승리에도 ‘기쁨’이라는 감정은 거의 드러내지 않았다.
화가 나는 일엔 분노한다. 슬픈 일엔 슬픔을 표현한다. 너무도 당연해보이는 일이지만, 시대에 따라 감정을 표출하는 방식 그리고 그 시대의 사람들이 품는 주된 감정은 모두 달랐다. 우리가 ‘감정’을 통해 역사를 바라볼 때, 과거를 바라보는 색다른 시각을 얻을 수 있는 이유다.
사학자 김학이는 <감정의 역사>에서 다양한 문헌 등에 드러난 독일 사람들의 16~20세기 감정의 변화를 살펴본다. 그는 감정이란 “도덕 공동체 구축의 핵심 기제”이며 시대별 ‘대표 감정’이 존재해왔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16세기의 의사 파라켈수스는 폐와 별 등이 모두 분노 등의 감정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고, 누군가가 페스트를 “두려워”하면 페스트에 걸린다고 말했다. 이처럼 감정을 억누르던 16세기에서 근대로 이행하면서 점차 개인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출하는 경향이 생겨난다. 하지만 다시금 나치 시대에 들어서며 노동자들을 “영혼을 갖춘 모터”처럼 “차분하게” 만들려는 시도가 생겨난다. 노동자, 시민들이 ‘무관심’하면 사회 정의 따윈 상관없이 각자의 삶과 생산성에만 집중할 수 있다. 오늘날은 가히 ‘감정의 시대’라고 할 만큼 감정 관련 산업들이 성업을 이루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잘 살게 된 것일까? 오늘날 우리는 어떤 감정에 얽매여 이를 어떤 방식으로 표출하고 살아가는가? 현대의 대표 감정으로 “공감”과 “혐오”를 꼽은 역사학자 피터 스턴스의 주장을 곱씹게 된다.
김지원 기자 deepdeep@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바람난 아빠가 죽었다, 내연녀에게 줄 위자료 남기고
- “병가 한 번만 줬어도…” 20대 청년 앗아간 ‘아파도 출근’
- [오피셜] 메시, 결국 MLS로 간다···인터 마이애미행 확정
- 박지원, 이래경 사태에 “이재명에 사과하라고 건의”
- 학폭·언론 탄압…벌써 ‘이동관 뇌관’
- 허드슨강 지킴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값싸고 손쉬운 방법일 뿐”
- 온실가스 이대로면 세기말 여름 ‘오존 지옥’
- 이채익 “우크라이나 6·25 참전국인데”···김병주 “당시 소련이었다”
- “옆집 이사오더니 대박났어요”…이웃 낙수효과 엄청 나네
- 발목뼈 뚫고 나왔는데 소량의 혈흔…아내를 죽인건 남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