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스&] 세계사는 미생물과의 공방전이었다

박민주 기자 2023. 3. 31. 17: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우리의 삶은 완전히 바뀌었다.

엔데믹에 접어든 지금도 이전의 삶이 돌아오지 않는 것은 마찬가지다.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이 인간의 삶과 역사를 바꿔온 것은 오래된 일이다.

인류가 비위생적인 환경에 놓여 있던 고대에도, 최신 의학과 첨단 기술로 무장한 현대에도 미생물의 위력은 변치 않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 권으로 읽는 미생물 세계사
이시 히로유키 지음, 사람과나무사이 펴냄
[서울경제]

코로나19 확산 이후 우리의 삶은 완전히 바뀌었다. 엔데믹에 접어든 지금도 이전의 삶이 돌아오지 않는 것은 마찬가지다.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이 인간의 삶과 역사를 바꿔온 것은 오래된 일이다. 인류가 비위생적인 환경에 놓여 있던 고대에도, 최신 의학과 첨단 기술로 무장한 현대에도 미생물의 위력은 변치 않는다. 이는 마치 ‘투수’와 ‘타자’의 관계와도 같다. 인류가 세균을 무찌르기 위해 항생제를 만들었지만, 세균은 금세 내성균으로 진화해 공포를 불러온 것처럼. 인류의 진보가 미생물을 불러오기도 한다. 책은 페스트가 중세 도시를 뒤덮은 까닭은 당시 농업혁명으로 인구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짚어낸다.

그렇다면 인류와 미생물 간 무한한 군비 경쟁을 멈출 방법은 없는 걸까. 저자는 “바이러스는 지구 생명 활동의 근원 부분에 존재해 지구가 멸망하지 않는 한 사라지지 않는다”고 말한다. 멈출 수 없다면 지금까지의 역사를 돌아보며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책은 미생물과 관련된 흥미진진한 에피소드를 나열한다. 에볼라 바이러스·에이즈(AIDS)처럼 악명을 떨친 미생물부터 홍역·선천 풍진 증후군·성인 T세포 백혈병 등 일본을 휩쓸었던 감염병도 다룬다. 1만 9500원.

박민주 기자 mj@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