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영향력 기대" 24회 전주국제영화제 변화·도전·확장 목표(종합)

조연경 기자 2023. 3. 31. 15:2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달 27일 개막 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 30일 기자회견
민성욱·정준호 공동집행위원장 출범 첫 해 "행사장 확대·후원회 발족"
개막작 다르덴 형제 '토리와 로키타'·폐막작 박하선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
변화와 함께 도전과 확장을 목표로 한다. 공동집행위원장 선출로 잡음 아닌 잡음이 있었던 전주국제영화제가 영화인들은 물론 더 나아가 전주 시민들과 함께 하는 영화제로 거듭나고자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지난 30일 전주와 서울에서 상영작 발표 기자회견을 진행한 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는 올해 민성욱·정준호 공동집행위원장 체제 속 '우리는 늘 선을 넘지'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관객들을 맞이한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우범기 조직위원장, 민성욱·정준호 공동집행위원장, 문석, 문성경, 전진수 프로그래머, 박태준 전주프로젝트 총괄 프로듀서가 참석해 달라진 전죽국제영화제에 대해 알렸다. 전주 시장이기도 한 우범기 조직위원장은 "2023년 문화도시 전주가 맞이할 대변혁에 전주국제영화제가 그 시작을 열어주는 관문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민성욱 공동집행위원장은 "올해 행사 공간을 전주시 전역으로 확대하게 됐다. 다양한 프로그램 이벤트를 통해 영화와 시민을 연결하는 영화제가 되겠다"는 포부를 남겼고, 정준호 공동집행위원장은 자신의 집행위원장 선출에 대한 여러 시각을 인정하며 "영화산업계와 지역사회에 좋은 영향력을 끼치고 싶다. 이에 사회 공헌에 뜻을 함께하는 주요 인사들이 모여 후원회를 발족했다. 이렇게 모인 후원금으로 신인 감독들의 제작 환경을 지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경쟁 부문, KAFA 40주년 특별전, 전주시네마프로젝트 등 전체 상영작과 특별전은 문석, 문성경, 전진수 프로그래머와 박태준 전주프로젝트 총괄 프로듀서가 소개했다. 박태준 프로듀서는 “전주시네마프로젝트가 10주년을 맞이한 올해가 향후 전주프로젝트의 변화와 발전의 교두보가 되는 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작품의 다양성 확보와 작품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물론 전통의 명맥은 잇는다. 매해 전주국제영화제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영화인을 프로그래머로 선정해 영화적 관점과 취향에 맞는 영화를 선택하고, 프로그래밍하는 섹션인 'J 스페셜: 올해의 프로그래머' 섹션을 소개했다. 배우 류현경, 연상호 감독에 이어 올해는 연기, 연출, 밴드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고 있는 배우 백현진이 프로그래머로 선정돼 활동한다.

백현진이 구성한 섹션에서는 루이스 부뉴엘 3부작 '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 '자유의 환영' '욕망의 모호한 대상'과, 백현진이 감독으로 참여한 단편 'The End' '영원한 농담', 김지현 감독의 '뽀삐' 그리고 장률 감독의 '경주'가 상영될 예정이다.

개막작은 전 세계 영화인들로부터 존경을 받는 장 피에르 다르덴(Jean-Pierre DARDENNE), 뤽 다르덴(Luc DARDENNE) 감독의 '토리와 로키타(Tori and Lokita)'가 선정됐다. 이에 다르덴 형제가 직접 한국을 찾는다. 전진수 프로그래머는 “다르덴 감독이 공식적으로 한국에 방문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년 전에도 다르덴 감독을 초청하려고 했으나 팬데믹으로 결국 성사되지 않았는데, 올해 개막작으로 모시게 되었다. 많은 관심 가져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폐막작은 김희정 감독의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다. 이 날 기자회견에는 김희정 감독과 배우 박하선, 문우진이 참석해 인사를 나눴다. 김희정 감독은 작품에 대해 "김애란 작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였고, 갑작스러운 사고로 남편을 잃은 여성의 애도의 시간을 그렸다"고 설명했고, 박하선은 "한국 작품이 개폐막작으로 선정되는 것이 7년 만이라고 들었다. 좋은 작품으로 전주에 올 수 있게 되어 영광이다", 문우진은 "작품 속 캐릭터가 되기 위해 캐릭터에 몰입하여 일기도 쓰면서 준비했다"고 전했다.

24회 전주국제영화제는 42개국 247편의 영화를 초청했으며, 해외 작품 125편, 국내 작품 122편, 이중 장편은 143편, 단편은 104편이다. 이 중 38편의 한국 단편영화는 온라인 플랫폼 온피프엔(onfifn.com)을 통해 온라인 상영의 형태로도 만나볼 수 있다. 영화제는 내달 27일부터 5월 6일까지 전주 영화의거리 일대에서 개최된다.

조연경 엔터뉴스팀 기자 cho.yeongyeong@jtbc.co.kr (콘텐트비즈니스본부)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