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경기지피티(GPT) 추진 전담 조직’ 첫 회의...도정 활용 논의

손사라 기자 2023. 3. 31. 13:0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1일 오전 오병권 도 행정1부지사가 경기도청 5층 상황실에서 열린 경기GPT 추진 TF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경기지피티(GPT) 추진 전담 조직(TF)’ 첫 회의를 열고 경기지피티 추진 방향과 도정 활용 방안을 모색했다.

31일 도는 ‘경기지피티 추진 TF’ 첫 회의를 통해 경기지피티 추진 계획을 공유하고,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의 도정 정책 방향 제언 및 경기지피티 추진 방향과 도정 활용 분야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행정1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TF는 미래성장산업국장 등이 참여하는 싱크탱크 1개 그룹과 실무 추진 5개 분과로 구성됐다. 싱크탱크는 지피티 도입 방향과 계획 수립 및 도정 활용 분야 발굴을 추진한다. 총괄·지원, 도민 기회, 산업 기회, 행정혁신, 공론·입법 등 5개 실무 부서는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한 뒤 사업을 추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날 TF는 지난 21일 발표한 ‘경기지피티 추진 계획’을 토대로 지피티를 도정에 접목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강구했다.

추진계획에는 ▲발달장애인 15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술교육과 활동 결과물 전시·확산을 추진하는 ‘지피티 도민창작단’ ▲도내 인공지능 기업, 관련 대학,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지피티 산학연관협의체’ 발족 ▲생성형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미래기반 산업 분야 유망 새싹 기업 등을 대상으로 약 5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성하는 ‘(가칭)미래성장펀드’ ▲인공지능 기반 경기도 콜센터 운영 ▲도와 공공기관 전 직원 대상 ‘지피티 제안 공모’ 등이 담겼다.

오병권 도 행정1부지사는 “경기도가 지피티 적용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겠다”며 “도민이 더욱 편리하고, 혁신적인 행정이 가능하도록 지피티를 활용한 다양한 정책을 적극 추진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손사라 기자 sarah@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